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성장일기]"모두가 알고 있지만, 아무도 실천하지 않는 성조숙증의 진실"

이순용 기자I 2025.04.12 00:03:00

박승찬 하이키한의원 대표원장

[박승찬 하이키한의원 대표원장] 성조숙증, 이제 모르는 부모는 거의 없다. 이미 온라인에는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고, 육아 커뮤니티에서도 하루에도 몇 번씩 거론되는 단골 키워드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있다. 그렇게 많이 알고 있음에도, 성조숙증으로 치료받는 아이는 해마다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정보는 넘쳐나는데, 행동은 따르지 않는다. 어쩌면 부모들이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제대로 모른다’는 뜻 아닐까? 그래서 이 글을 통해 성조숙증의 전통적인 원인들을 다시 짚어보려 한다.

박승찬 하이키한의원 대표원장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성조숙증 급증’이라는 뉴스는 부모들에게 긴장감을 주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조차 무뎌졌다. “요즘 애들은 원래 빨라요”, “이게 무슨 큰일인가요?”라며 대수롭지 않게 넘기는 부모도 있다. 바쁜 일상 속에서 ‘이것까지 신경 써야 하나’ 싶은 마음도 충분히 이해된다. 하지만 그렇게 넘겨도 되는 문제일까?

진료실은 여전히 사춘기가 빨라진 아이들로 가득하다. SNS 상담창에는 “우리 아이 키가 클 수 있을까요?”, “성조숙증일까요?”라는 메시지가 쏟아진다. 그 걱정 속에는 작은 키에 대한 두려움, 빠른 사춘기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안이 숨어 있다.

이제 부모에게 다시 묻는다. 시대가 바뀌었다고, 정보가 많아졌다고 해서 아이들의 성장과 마음까지 함께 무뎌져도 되는 걸까? 아니, 오히려 더 민감해져야 하는 건 아닐까?

진료실에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있다.

“예전에는 이러지 않았는데요. 왜 이렇게 빨라졌나요?”

“우리 때는 중학교 때도 키가 컸어요. 요즘 애들은 왜 안 크죠?”

이 질문들에 대한 답은 이미 나와 있다. 나는 20년 전부터 성조숙증의 위험을 알리고, 조기 개입의 중요성을 이야기해왔다. 성조숙증의 원인도, 그 예방과 치료법도 이미 수많은 연구와 임상에서 정리되어 있다.

문제는 그것을 실천하지 않는 사회에 있다.

성조숙증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 생활습관과 환경 요인은 지금도 여전히 아이들의 삶에 그대로 작동 중이다. 스마트폰 과다 사용, 수면 부족, 인스턴트 음식, 환경 호르몬, 스트레스 과잉, 운동 부족… 이 모두가 이미 밝혀진 ‘범인’들이다. 그런데도 방치된다면, 이는 단순한 무관심을 넘어서 무책임이고, 아이의 미래에 대한 방기다.

성조숙증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빠르게 시작된 사춘기는 단지 아이의 성장판을 닫는 것이 아니라, 자존감과 정서 발달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 키만 작은 게 아니라, 자신감도 작아질 수 있다.

부모라면 지금 이 순간부터라도 다시 물어야 한다.

“우리 아이의 사춘기가 왜 이렇게 빨라졌을까?”

그리고 더 중요한 질문,

“나는 그것을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성조숙증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원인을 알고, 생활을 바꾸고, 꾸준히 관찰하면 된다. 무언가 거창한 치료가 필요한 게 아니다. 관심과 의지가 아이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 이 칼럼이 부모로서 다시 한 번 책임의 자리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내 아이의 사춘기 시계를 지금부터 다시 조율하자.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