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배 커진 '통큰세일', 김동연 "도민 장바구니 걱정 덜었으면"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황영민 기자I 2025.06.22 08:19:47

전년 대비 예산과 참여상권 2배 이상 증가
경기도내 400여 전통시장, 골목상권에서 9일까지
지역화폐, 온누리상품권 20% 페이백 행사 진행

[오산=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통큰세일을 계기로 지금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자영업자 또 골목상권 계시는 많은 분들 힘내시기 바란다.” 지난 21일 경기 오산시 오색시장에서 열린 ‘2025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통큰세일)에 참여한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말이다.

지난 12일 오산 오색시장에서 열린 통큰세일 개막행사 후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이권재 오산시장이 장을 보고 있다.(사진=경기도)
가라 앉은 소비심리를 살려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는 통큰세일이 더욱 큰 혜택으로 돌아왔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올해 통큰세일은 사업비를 전년 대비 2.5배(40억→100억원) 확대했다. 참여 시장도 지난해 154곳에서 올해는 도내 400여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으로 2배 이상 늘려 오는 9일까지 진행된다.

통큰세일은 경기지역 소비를 촉진하고 지역 내 경제 선순환을 유도하기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경상원)이 작년부터 추진해 온 프로젝트다. 특히 올해는 상권별 행사기간을 통일하고, 상반기와 하반기에 두 번 추진하는 것으로 정례화해 도민 혼선 없이 집중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기획됐다. 하반기 행사는 10월에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 기간 중 참여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에서 경기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면 최대 20% 페이백(1일 1인 최대 3만이 제공된다. ‘배달특급’, ‘먹깨비’, ‘땡겨요’ 등 공공배달앱도 할인쿠폰을 발행하는 등 참여해 음식업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도 도모한다.

경상원이 발간한 최근 발간한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이슈 브리프 VOL.06&’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진행된 통큰세일에 참여한 154개 상권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월 대비 평균 매출 3.20%,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골목상권의 매출 증가율은 4.90%로 가장 높았다. 경기 침체가 더욱 심해진 하반기 통큰 세일에 참여한 194개 상권의 평균 매출 감소율은 1.41%로, 미참여 상권(-9.85%) 대비 소비 방어 효과를 보였다.

지난 21일 오산 오색시장에서 열린 통큰세일 개막행사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참가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기도가 통 크게 준비했다. 작년 40억 예산을 올해 100억으로 2.5배 늘렸다. 또 (참여)시장도 2배 이상 늘려서 경기도의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다 합쳐서 400곳 넘는 곳 전부 혜택 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어 “통큰세일을 계기로 시장이 활기차게 돌아가고 장사가 잘 돼서 상권이 다시 살아나기를 바란다”며 “도민 여러분들께서는 장바구니 물가 걱정 좀 덜었으면 한다. 지금 최대 20%까지 할인(환급) 행사까지 하니까 마음껏 이용해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개막식 후 시장을 돌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배우자와 함께 온누리상품권과 현금으로 과일과 채소 등 15만원가량 장을 본 김 지사는 통큰세일 혜택으로 온누리상품권 2만원을 환급받았고 이 상품권으로 인근 가게에서 수박 한 통을 구매하고 현장을 떠났다.

한편 이날 개막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를 비롯해 이권재 오산시장, 김선영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부위원장, 김영희·조용호 도의원, 이충환 경기도상인연합회장, 이상백 경기도소상공인연합회장, 김주현 오색시장상인회장 등 소상공인 단체와 시민 200여 명이 함께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