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10일 새벽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결정했다. 당은 선거관리위원회를 열어 김 후보의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로운 대선 후보 등록 절차를 의결할 계획이다. 이후 한 후보를 입당시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하는 것에 대한 전 당원 찬반 투표가 진행된다. 당원 투표를 거쳐 전당대회 대신 11일 열리는 전국위원회 의결까지 거치면 한 후보는 국민의힘 후보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김문수 후보가 한덕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하겠다고 하는 것이 국민들에 대한 약속이다. 서류에 사인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이제 당원들과의 신뢰 관계고 국민들과의 신뢰였다”며 “저희 당의 대통령 후보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신뢰의 문제였기 때문에 두 사람을 상대로 한 후보 단일화에 대한 의사를 물어서 발표한 바 있고 또 수치는 말하지 못하지만 경쟁력 조사를 한 게 있지 않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당연히 한덕수 후보에 대한 후보를 이제 새로운 후보로 등록을 해서 찬반 여론을 당원들께 다시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와 국민의힘 지도부는 김 후보와 한 후보의 단일화를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대선 후보 등록 마감(11일) 전에 단일화를 끝내야 한다는 국민의힘 지도부와 달리 김 후보는 다음 주 단일화 절차를 진행할 것을 주장했다. 이에 국민의힘 지도부는 단일화 후보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며 사실상 강제 단일화 수순에 들어갔다. 김 후보 측은 ‘대통령 후보자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과 ‘전국위원회·전당대회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하며 저지에 나섰으나 법원이 이를 모두 기각하면서 불리한 처지가 됐다. 김 후보와 한 후보 측은 전날 마지막 단일화 협상을 했으나 여론조사 방식을 둘러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결렬됐다.
원내 2당의 대선 후보가 선거운동 시작(12일)을 이틀 앞두고 교체되는 일은 헌정사에서 유례가 없는 일이다. 애초 김 후보는 이날 대선 후보 등록 절차를 밟을 예정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김 후보 측 반발은 불보듯 뻔하다. 김 후보 측이 법적 대응에 나선다면 그 결과에 따라 국민의힘의 내홍은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