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멈췄던 ‘공매도 시계’ 오늘부터 돌아간다…韓 증시 영향은

이용성 기자I 2025.03.31 07:00:00

당국, 공매도 시스템 개선 후 ''빗장'' 풀어
대차잔고 삼성전자 1위…공매도 타깃 가능성
외국인 수급 개선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증시, 단기적 수급 노이즈, 중기적으론 상승 경향"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멈췄던 공매도가 다시 시동을 건다. 금융당국이 5년 만에 국내 증시에서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재개하면서다. 공매도 재개가 단기적인 수급 변동성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국내 증시가 출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증권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다만 외국인 수급 여건을 개선시키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증시가 우상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여의도 일대, 증권가 모습.(사진=연합뉴스)
31일 금융당국은 이날부터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재개한다.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 재개는 코로나 팬데믹 시절이었던 2020년 3월 이후 5년여 만이고,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종목에 대해선 2023년 11월 이후 17개월 만이다.

금융당국은 공매도 ‘빗장’을 풀기에 앞서 공매도 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해 왔다. 그 결과 금융당국은 기관과 개인의 형평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관의 대차거래와 개인의 대주 서비스 상환 기간을 90일(연장 시 최대 12개월)로 통일하고, 이를 위반할 땐 과태료(법인 1억원, 개인 5000만원)를 내야 하는 규정을 세웠다.

또한, 증권사 대주 담보비율(현금 기준)도 개인과 기관 모두 105%로 통일했다. 또한 중앙점검시스템(NSDS)을 도입하면서, 무차입 공매도를 차단한다. 특히 한국거래소 등 금융당국이 실시간으로 매도 가능 잔고와 매매 정보를 검증해 부정 거래를 원천적으로 막을 방침이다.

증권가에서는 전 종목에 대한 공매도가 재개됨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 등 이슈들로 증시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면서 “코스피가 2600선에서 지지력 테스트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특히 대차 잔고가 높은 종목에 대해서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8일 대차거래 체결 주식 수는 2억 9104주로 집계됐다. 지난 27일 6331만 주가 체결된 것을 비교해보면 시장에서는 이미 공매도에 시동을 걸고 있는 셈이다. 대차거래는 투자자가 다른 투자자에게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주식을 빌려주는 거래로 대차거래 체결 동향으로 공매도 준비 동향을 가늠해볼 수 있다.

최근 한 주간 대차 잔고가 높은 종목은 삼성전자(005930)로 잔고는 1억 1000만주, 규모는 6조 8130억원이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SK하이닉스(000660)가 뒤를 이었다. 코스닥에서는 에코프로(086520)(1680만주), 에코프로비엠(247540)(1482만주)이 각각 대차거래 잔고 1위, 2위를 차지했다. 공매도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대차거래는 잔고가 높은 종목일수록 공매도의 타깃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단기 변동성이 지나고 나면, 공매도 재개가 외국인 수급을 개선시킬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공매도의 이론적인 순기능으로는 고평가된 주식의 버블을 없애고, 주식시장에 유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2009년, 2011년, 2021년 등 세 차례의 공매도 금지 이후 재개 상황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와 코스닥은 중기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공매도가 재개된 후 60일 이후 주가를 살펴보면 코스피는 평균 8.9% 상승했고, 코스닥은 2.9% 상승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공매도 재개는 단기적인 수급 노이즈를 유발할 수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 수급 여건 개선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은 수급 노이즈는 역설적으로 특정 업종에 대한 투자 기회를 만들어 낼 것으로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