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최근 A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관세와 의약품 관세를 한두 달 내 발표할 것”이라며 “스마트폰, 컴퓨터, 평판 TV 디스플레이,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 등 상호관세 면제 대상 품목들은 향후 반도체 관세 범주에 포함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관세 예외가 아니라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적었다. 그는 기자들과 만나서는 “어느 정도 유연함을 보여야 한다”며 협상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은 상당하다는 관측이 대다수다.
당초 미국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했다가 오는 7월 8일까지 유예한다고 밝히면서도, 중국에는 총 145%의 관세를 예정대로 부과하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생산되는 아이폰 가격이 천정부지로 뛸 것이란 우려와 자국 내 반발을 의식해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칩, 반도체 장비 등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런데 그 뒤 곧바로 다시 관세 부과 가능성을 거론한 것이다.
|
주요 고객인 애플이 관세 부담으로 아이폰 가격을 올리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고 부품 수요 감소도 뒤따른다. 현재 애플은 중국과 인도에 아이폰 조립공장을 두고 있다.
국내 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세트업체인 고객사가 받는 영향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며 “지금은 고객사 동향과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면서 동향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애플이 당장 아이폰 가격을 올리지 않더라도 문제는 사라지지 않는다. 애플이 마진을 지키기 위해 부품 납품 단가를 낮추라고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LG 부품사들은 원가 절감 부담이 더 커지고 수익성이 낮아질 여지가 있어 보인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공급 가격을 인하하라는 고강도 압박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결국 경쟁사와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입증해 우리 제품을 대체하지 못하도록 하는 게 최선”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