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美경제위원장 “50개국 협상 요청…소비자 관세 영향 적어”

김윤지 기자I 2025.04.07 07:06:49

해싯 NEC 위원장, ABC 인터뷰
“관세, 상대국이 부담…美소비자 아냐”
“값싼 상품 보다 일자리 창출 더 중요”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요 무역 상대국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을 요청했다고 백악관이 6일(현지시간)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사진=ABC 방송화면 캡처.)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여러 나라들이 분노하며 보복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동시에 협상 테이블에도 나오고 있다”면서 “어젯밤 미무역대표부(USTR)로부터 50개국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들은 관세의 상당 부분을 (그들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면서 “그런 이유에서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무역적자를 갖고 있는 이유는 이들 국가들이 매우 비탄력적인 공급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에서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미국에 상품을 덤핑(헐값 판매)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이어진 가격 하락을 언급하면서 저렴한 물가보다 일자리 손실이 더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값싼 상품이 미국인의 실질임금을 개선시켜주는 것이었다면 그 기간 동안 실질소득이 올랐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면서 “임금이 물가보다 더 많이 하락했기 때문에 소득도 줄어들었다. 우리는 식료품점에서 값싼 물건을 사게 되었지만 그 대가로 일자리가 줄었다”고 말했다.

해싯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으로 주식 시장 하락을 유도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선을 그었다. 그는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 운동과 정치 경력 내내 집중했던 정책”이라면서 “그것은 다른 문제”라고 답했다. 그는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한다”면서 “대통령이 관련 의견을 가질 수 있지만 연준에 대한 정치적 강압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상호관세 부과 국가에 러시아가 제외된 것과 관련해 해싯 위원장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평화 협상이 진행 중이고 대통령이 두 문제를 엮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생각한다”면서 “협상 중간에 새로운 것을 던지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가 다른 나라와 달리 대우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덧붙였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