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콘클라베에 대중의 관심이 쏠리게 된 데는 최근 방영된 영화 ‘콘클라베’의 영향이 적지 않다. 교황의 갑작스러운 선종으로 열리게 된 콘클라베를 소재로 한 이 영화는 파격적이게도 교황을 뽑는 투표에서조차 세속적인 파벌정치의 양상이 벌어지는 것을 그렸다. 투표를 위해 전 세계에서 추기경단이 모였지만 식사 자리에서부터 영어권, 스페인권, 이탈리아권, 아프리카권 등 언어·지역·성향별로 나뉘어 식사를 한다. 그 속에서 네 명의 유력후보가 파벌을 형성하는데 진보 성향이 벨리니(스탠리 투치 분), 전통적인 교리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보수파 테데스코(세르조 카스텔리토 분), 아프리카 출신으로 제 3세계의 지지를 받는 아데예미(루시안 음사마티 분), 중도 성향의 트랑블레(존 리스고 분)가 그들이다. 그리고 여기에 선거판 변수로 교황이 생전에 비밀리에 임명한 아프가니스탄 추기경 베니테스(카를로스 디에즈)가 등장한다. 영화는 이 혼탁한(?) 선거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선거를 이끌어 나가는 로렌스 추기경(랄프 파인즈)이 겪는 심적 고통을 따라가면서 이 밀실 바깥에서 벌어지고 있는 파벌화한 세상의 부조리를 꼬집는다. 교황 선거라는 엄숙한 소재를 가져왔지만 영화는 파벌로 나뉘어 그것만이 진실이라고 믿고 확신에 빠진 이들이 보지 못하는 바깥 세상의 참상을 그려낸다.
기자 Pick
레오 14세를 새 교황으로 뽑은 실제 콘클라베의 풍경과 정쟁 속에서 길을 잃었지만 스스로 반성하며 다시 길을 찾아내는 영화 속 콘클라베의 풍경은 현실과 허구로 다르지만 그 두 풍경이 궁극적으로 도달하는 곳은 크게 다르지 않다. 선거를 치르고 뽑힌 이에 대한 존경과 존중이 궁극적인 지향점이기 때문이다. 나와 다른 성향을 가진 이가 뽑혔다고 불만을 드러내지도 않고 나아가 승자니 패자니 하는 말도 나오지 않는다. 베스코 추기경은 콘클라베는 “정치가 아니다”라며 “정치에는 항상 승자와 패자가 있지만 여기는 그렇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표가 나뉘는 선거를 치렀지만 그가 뽑힌 후에는 “모두 그를 지지하고 있다”는 거였다.
콘클라베는 정치가 아니라지만 적어도 사익이 아닌 공적인 목표를 잊지 않는 콘클라베의 정신은 우리네 정치가 배워야 할 점이 아닐까 싶다. 우리네 정치판은 갈수록 정당과 파벌로 나뉘어 끊임없이 물고 뜯는 행태를 보이고 있지 않은가. 자신의 파벌로만 채워진 밀실 안에서 그것만이 옳다는 확신을 갖고 바깥을 적이자 악으로 단정 짓고 깎아내리는 정치는 선거에 이르러 그 정점을 찍곤 했다. 그리고 선거 후에도 결과를 승복하지 못하고 정쟁을 이어 가는 과정 속에서 정작 공적인 목표여야 할 국민의 삶은 저 뒤편으로 밀려나곤 하지 않았던가.
지난 4월4일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전원일치 ‘파면’ 선고를 함으로써 이제 우리는 오는 6월3일 조기 대선을 앞두고 있다. 벌써 정당들의 상대 진영 깎아내리기가 시작됐고 심지어 정당 내부에서도 후보 선출 과정에서 크고 작은 잡음이 연일 터져 나오고 있다. 모쪼록 조기 대선 이후에는 공적 목표로 돌아오는 정치가 되살아나길 바란다. 사적 이익으로 벌어지는 정쟁이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