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계란 가격이 오른 이유에는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과 같은 전염병, 알을 낳는 산란계들의 노화 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그러나 최근 정부는 대한산란계협회 등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고, 담합 등 가격 조정이 있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며 다른 원인 파악에도 나섰다.
계란은 일상 생활에서의 소비는 물론, 다양한 가공 식품에도 활용돼 계란 가격이 오르면 추가적인 가공식품·외식비 물가까지 그 영향이 전이될 수 있다. 그만큼 정부에서도 가격 관리에 노력하고 있는 품목이다.
앞서 지난 16일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는 계란 가공품 할당관세를 1만 t 규모로 확대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산란계 농가의 케이지 수선 및 교체 비용 등을 지원하고, 농협 자체 할인과 계란자조금을 통한 대형마트로의 계란 납품 단가를 최대 한 판당 1000원씩 인하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에 따라 유통업계에서도 이윤을 최소화해 가격 안정에 나서고 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계란 납품가는 10~20%가량 올랐지만, 소비자 가격 전가를 최대한 억누르겠다는 방침이 유지되고 있다.
홈플러스는 특란 한 판 가격을 7900원으로 동결해 8000원을 넘지 않도록 제한에 나섰다. 또 이마트 역시 소비자 가격 인상을 제한하고 있고, 대란을 위주로 판매하는 롯데마트 역시 대란 한 판 가격을 현재 7990원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대형마트들은 매일 들어오는 계란 수급량은 지난해의 80~90% 수준으로, 물량 자체가 모자라지는 않다고 보고 있다. 또 일반 판매 상품에 대해서도 현재까지 구매를 제한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앞으로 계란 가격이 안정화될 것으로 봤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계란 소비가 둔화되고, 산란계들이 알을 낳을 수 있는 연령을 평균 84주령에서 87주령으로 늘리면 가격이 점차 안정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