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오전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확정 실적을 공시한다. 삼성전자는 지난 8일 잠정실적 발표를 통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6조 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5%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은 79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84% 증가했다.
|
이는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 S25의 판매 호조 덕이다. 다만 트럼프 리스크 등으로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큰 만큼 2분기 이후는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관심은 사업별 실적, 특히 DS부문의 성적표에 쏠린다. 증권가에 따르면 DS부문 영업이익은 1조원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메모리에서 3조원 이상 영업이익을 냈으나 시스템LSI·파운드리 적자가 약 2조원 발생했으리란 분석이다.
1분기 실적 선방은 미국 관세 부과 이전에 미리 제품을 구매해 놓으려는 수요에 따라 메모리 출하가 안정적으로 이뤄진 영향도 있다. 다만 2분기 이후 불확실성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관세 폭탄 탓에 인공지능(AI) 투자 위축과 전방 수요 부진이 이어질 수 있어서다. 삼성전자는 고부가 고성능 HBM 등에서 경쟁사에 밀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확정 실적 발표 이후 컨퍼런스콜에서 HBM의 양산 진행 상황 등을 설명할 것으로 예측된다. 삼성전자는 예상과 달리 엔비디아에 대한 5세대 HBM3E 퀄(품질) 테스트를 아직 통과하지 못했다. 삼성전자는 HBM4에서 반전의 기회를 꾀한다는 계획인데, 향후 공급 계획 등을 설명할 지가 관전 포인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