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는 지난 9일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 이후 이날까지 총 12차례 공약을 발표했다. 이중 1호 공약이 경제 살리기를 위한 ‘기업 하기 좋은 나라’다. 기업의 투자 확대로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 등 기술 초강국 육성, 노동 생산성 향상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김 후보는 “기업 살리기는 대한민국 경제 성장과 민생 회복을 위한 기본이며 시작이다”며 “일자리 창출 기업에 법인세 최고세율을 24%에서 21%로 낮추고 상속세율 역시 50%에서 30%로 인하하면 일자리 확대 선순환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 일자리 정책 일환으로 ‘신입 공채’를 실시하는 대기업에 △법인세 감면은 물론 △정부 사업 입찰 시 가점 부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우대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는 공약도 밝혔다. 김 후보는 “공채 제도는 대졸자의 취업 시점을 앞당길 뿐만 아니라 ‘쉬었음’ 청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채용의 공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고하는 긍정적 효과도 있다”고 기대했다.
지난 28일 발표한 ‘수출 5대 강국’ 또한 경제 살리기에 방점을 둔 공약이다. 김 후보는 “당선 즉시 한미정상회담을 개최해 ‘트럼프 관세 압박’에 대응하고 조선, LNG, 방산, 반도체, 원전을 아우르는 포괄적 투자협정 패키지 협상을 추진할 것”이라며 “직접 세계 시장을 누비는 경제대통령이 되겠다”고 힘줘 말했다.
당초 정치권에서는 김 후보는 강성 보수 이미지 탓에 중도 확장력이 부족하다는 우려를 받았으나 ‘노동계 출신’이라는 점과 실용주의·합리주의 정책을 내세우면 ‘반(反)이재명’ 구도에서 충분히 해볼 만하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러한 분석하에 김 후보는 경제와 청년에 특화된 공약을 통해 중도 확장성에 집중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후보는 이날 3차 경선 진출 소감에서 “반드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이기고 대한민국의 자유 민주주의를 지키고 경제를 살리고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와 차별화하는 대선 비전으로 △미국발 관세·북핵 위협·중국의 서해안 구조물 설치 등 문제 해결 △경제 성장과 이를 위한 정부·자본의 혁신 △노동 개혁 △국론 통합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