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원로인 이주영 전 국회부의장은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21대 대통령선거에서 패한 보수진영을 향해 이같이 일침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41.15%의 득표율로 49.42%를 얻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8.27%포인트 차이로 패했다. 비상계엄과 보수정당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선거였음에도 보수 지지층이 결집해 초기 격차를 좁혀줬지만, 정작 보수정당 내부가 자중지란했다는 비판이다.
|
아울러 이 전 부의장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당권을 두고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친한동훈)계의 신경전이 벌어진 상황도 비판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와의 보수 단일화 시도 과정에서 일부 친윤계가 이준석 후보에게 당권 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친윤-친한계의 충돌이 거셌다.
그는 “선거과정에서 계파 이름이 나온다는 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했다”며 “보수는 그런 자세부터 반성하고 가다듬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이기적인 정치인들은 좀 배제돼야 한다”고 했다.
이 전 부의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당의 관계도 확실히 정리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은 대선 기간 중 자진 탈당하긴 했으나 김문수 후보 지지발언을 내는 등 보수진영을 오히려 혼란스럽게 했다. 김 후보 역시 비상계엄에 대해서는 비판했으나 윤 전 대통령과 공식적으로 절연하진 못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의)비상계엄에 대한 심판이 대선 패배의 원인이기에, 당이 (윤 전 대통령과)절연을 해야할 것”이라며 “윤 전 대통령이 이미 당에서 탈당을 하는 등 정리가 돼 가는 단계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전 부의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아직 야당과의 협치 의사가 없는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대통령 당선 후 첫 본회의에서 3특검법(내란·김건희·채해병)을 먼저 통과시켰다. 법안에 따르면 3개 특검에 투입될 검사만 120명으로, 전체 검사 정원(약 2000명)의 약 6%에 달한다. 전체 평검사 기준으로는 10%다.
그는 “지금 상황으로서는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이 전혀 협치를 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는 의심이 든다”며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정치보복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3특검법을 우선 통과시킨 것은 보복의 시작으로도 보인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