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관광산업은 전체 GDP의 2.8%를 차지하고, 약 9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주요 산업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잇단 반이민·반글로벌화 정책은 관광 수요를 위축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최근 강화된 비자 심사와 반무슬림 국가 대상 입국 제한 조치 등은 미국의 개방성과 친화적 이미지에 타격을 줬다는 평가다.
실제 수치에서도 관광 감소 현상이 뚜렷하다. 미국 국제무역청(ITA)에 따르면 지난 3월 미국에 1박 이상 체류한 서유럽 방문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7% 급감했다. 덴마크와 아이슬란드 출신 방문객은 30% 이상 줄었고, 독일·아일랜드·스페인·노르웨이 관광객도 20% 이상 감소했다. 이 같은 감소세는 북미 지역과 유럽연합(EU) 국가들에서 확산되고 있는 반미감정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미국 항공·숙박업계의 실적 경고도 이어지고 있다. 델타항공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여행 수요가 정체됐다”며 연간 실적 전망치를 철회했고, 에어비앤비와 힐튼 역시 2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미국 관광 수요 감소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 전환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방증한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수요 감소가 미국 경제 전반에 연쇄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소비지출 축소→고용 감소→지역경제 침체라는 악순환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관광 의존도가 높은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뉴욕주 등은 지역 경제의 복원력 약화가 우려된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달러 강세가 해외 관광객 유입 감소의 주된 원인”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순한 환율 문제가 아닌, 미국에 대한 정서적 거리감과 입국 절차의 복잡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지적한다.
JP모건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는 단기적으로 일부 내수 산업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글로벌 관광 수요라는 외부 수요 기반에는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며 “관광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과 정책적 유연성 확보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