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한국경제연구원은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5년 상반기호’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을 1.0%로 제시했다. 이는 최근 10년 평균 경제성장률인 2.5%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한경연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시작된 미국발 통상 정책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성장률이 0.2%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하반기에는 대내외 경제 리스크에 대한 정책 효과가 가시화하며 성장률이 1.8%로 반등하리라 내다봤다.
|
이승석 한경연 책임연구위원은 “트럼프 정부의 급격한 관세정책 변화 등으로 상반기에는 경기 흐름이 위축됐다”며 “하반기에는 주력 수출 품목의 회복과 정책 대응 효과가 가시화하며 완만한 회복세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정부 경기부양책의 구체적 내용과 실행 속도, 한·미 간 통상협상 결과가 경기 반등 폭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도체 제외 수출 부진…수출 여건 크게 악화
우리 경제 성장 버팀목인 수출도 올해 사실상 제자리 걸음(0.0%)에 머물 것으로 전망된다. 한경연은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철강·기계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부진과 미국의 고율 관세정책 등이 수출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자동차와 철강에 대해 25~50%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수출 여건이 크게 악화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올해 경상수지를 전년 대비 100억 달러 감소한 890억 달러 흑자에 그칠 것으로 한경연은 전망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와 미·중 통상 갈등 격화 등으로 반도체를 제외한 주요 품목 대부분의 수출 부진을 예상했다. 주요국 통화 긴축 종료 지연,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도 경기 하방 압력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 위원은 “경기 반등의 골든타임을 놓칠 경우 회복 국면 진입 자체가 지연될 수 있다”며 “정부의 경기부양책 실행력과 한미 통상협상 결과 등이 향후 경기 흐름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민간 소비·건설투자·설비투자 등 내수 핵심 지표는 모두 약세가 예상된다. 민간소비는 올해 1.2% 성장에 그칠 전망이다. 한경연은 기업 실적 부진에 따른 임금 상승률 둔화와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이 소비 여력을 제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경기 위축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하며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설비와 건설 투자 역시 부진한 흐름을 보일 전망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인공지능(AI) 인프라 관련 설비와 선박 등 운송장비 수요가 일정 부분 뒷받침하며 올해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글로벌 수요 둔화, 대외 불확실성 심화로 투자 심리는 여전히 위축된 상태다.
장기 침체 흐름을 이어가는 부동산 PF 부실과 공공부문 발주 위축으로 올해 건설투자는 -3.8%의 역성장이 예상된다. PF 관련 유동성 악화와 중소 건설사 중심의 구조조정 지연으로 신규 착공이 큰 폭으로 줄어들며, 건설 부문은 최근 10년 내 최저 수준의 실적을 기록해 회복 모멘텀이 현저히 약화한 상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에 따른 수요 측 물가 압력 약화로 연간 1.9% 수준까지 둔화할 것으로 한경연은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