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 한·미 고위급 무역 협상이 ‘2+2’ 형식으로 열릴 수 있냐는 질문에 “몇 시간 내에 확정돼 발표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러한 형식이 확정되면 한국 측에서는 안덕근 장관과 함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을 찾는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하게 된다.
최상목 부총리는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 회의 참석을 위해 내주 미국을 방문한다. 이때 미국 측의 요청으로 베선트 재무장관을 만나 통상 이슈를 포함,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었다.
안덕근 장관도 24일을 전후로 미국을 방문해 그리어 USTR 대표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고위 인사들을 만나 관세 조정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은 각각 별도로 미국 측 인사들을 만나 협의를 진행하는 방향을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측 요청으로 한 자리에 모이는 형식의 회담이 성립될 수 있을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러트닉 상무장관까지 참여한다면 회담은 ‘2(한국)+3(미국)’ 형식으로 넓혀진다.
미국 측은 한국과 더불어 일본, 인도, 호주, 영국 5개 국가를 우선 협상 대상 국가로 강조한 바 있다. ‘협상 최우선’ 대상인 만큼 베선트 재무장관이 최 부총리 등에게 선제적으로 협의를 제안한 바 있다. 90일 간의 상호 관세 유예 기간, 집중적으로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상호 관세는 물론, 자동차와 철강, 반도체 등 품목별 관세 대응을 위해 범정부 ‘패키지’를 미국에 먼저 제안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무역 균형을 추구하고,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노력 등을 강조하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