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아이디어로 이번 ‘새정부 경제정책 방향’(새경방)에 담기면서 현실화할 전망이다. 구 부총리는 줄곧 “청년들을 AI 특수 전사로 키우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 
 | 
22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다음 달 중순께 나오는 새경방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AI 전사 육성사업단(사업단)은 이르면 오는 9월 출범해 범부처가 합동으로 교육 과정 설계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유치원부터 초·중·고, 일반인까지 AI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를 준비하고 있다”며 “하반기 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내년 중 시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구체적으로 사업단은 기재부와 과기부가 공동으로 총괄 사업을 맡는다. 과기부가 AI 업계 등과 긴밀히 협업하면, 기재부가 교육과정 설계비나 강의 개발비 등 재정 지원을 하는 형태다.
그 아래 학생·일반인·핵심인재 등 소그룹을 둬 관계 기관이 그룹별로 ‘AI 교육과정’을 설계할 방침이다. 이를테면 유치원부터 대학생까지 학생그룹은 ‘교육부’가, 군인은 ‘국방부’ ‘청년·일반인’은 고용노동부, 핵심인재는 과기부가 맡는 방식이다. 각 부처 국장급이 배치되며 정보기술(IT), 플랫폼 기업 전문가도 참여한다. 이 같은 사업단을 통해 도출된 교육과정은 내년부터 적용될 방침으로 전해진다.
다만 당장 정규 교과 과정으로 편성하지는 않고 ‘방과 후 수업’격으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방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정규 교과 과정으로 정하기에는 공론화가 필요한 상황이어서 AI 교육 사업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선 우선 자발적 참여 교육이 적절해 보인다”고 했다.
구 부총리 구상 현실화…전산업에 AI 장착
이번 AI 교육 아이템 및 부처별 ‘헤쳐 모여’식 사업단 구성은 구 부총리의 구상으로 알려졌다. 또한 아직 교육과정 설계 전으로 구체적인 방안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AI를 전공하는 대학생 등에는 인센티브도 부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 부총리는 앞서 지난 4월 본지 인터뷰에서 “AI 사업은 부처별로 따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템별로 모든 부처가 머리를 맞대서 찾아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는 이어 “어릴 때부터 AI 교육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AI를 공부하고 전공하는 청년들에는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는 철학도 밝혔다.
구 부총리는 지난 1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도 “AI 대전환을 통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엔진을 달아야 한다”며 “전 국민 AI 교육을 통해 AI가 국민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청년들을 AI 특수 전사로 키우고 전 국민의 AI 교육을 통해 AI가 국민 모두에게 열린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정부는 향후 5년 내 AI 대전환을 위해 이 같은 전 국민 AI 교육을 바탕으로 조선·석유화학·자동차 등 기존 주력산업에 AI를 접목해 산업을 고도화하고, 양자·우주·바이오·에너지·K-컬처·방위산업 등 첨단전략산업 분야도 AI 기술과 연계해 초혁신 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또한 재정 지원을 위해선 기재부 내 ‘AI국’을 신설한다는 계획이다. 구 부총리는 “(AI 대전환을 위한 과감한 투자를 위해) 기존 국을 구조조정해서 AI국을 신설할 것”이라며 “(100조원의 재원에는) 재정뿐만 아니고 민간 자본까지 다 포함된 것”이라고 했다.
 
					 
					 
					 
					 
					 
					 
						 
						
 
						 
						



!['나 떨고 있니?'...성매매 남성 사진 9천장 쏟아져 '발칵' [그해 오늘]](https://image.edaily.co.kr/images/vision/files/NP/S/2025/11/PS25110100001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