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영무 소장은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거시경제와 국내 전 산업을 분석하며 그룹 계열사 대표를 포함한 금융지주 내 의사결정을 돕고 있지만, 향후에는 중요한 이슈나 거시경제 현안에 대해 연구 결과 및 견해를 활발히 외부에 말씀드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지주와 그룹 내에서의 싱크탱크 역할을 넘어 외부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포부다.
NH금융연구소는 NH금융지주 안에서도 회장 직할로 있는 유일한 조직이다. 크게 거시경제와 국내 주요 업종을 분석하는 부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연구소의 분석이 그룹 내 의사 결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 소장은 “예컨대 계열사 중에 NH농협은행과 NH투자증권, NH캐피탈 등이 있는데 저희가 사내 신용평가사처럼 업황 리스크를 감안해 특정 업종의 등급을 아래로 낮추면 계열사들이 여신을 늘릴 수 없게 된다”면서 “추가로 등급을 더 하향하게 된다면 여신이 회수된다. 내부적으로 제도화된 강력한 역할이고 독립성이 확립돼 있다”라고 설명했다.
20년 넘게 몸담았던 LG경제연구원에 대한 애착도 드러냈다. 조 소장은 “개인적으로 일할 때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며 “LG는 우리나라 대표 수출 기업이다. 이런 기업들 덕분에 우리 경제가 이만큼 성장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저 역시 거기에 기여한다고 생각하며 일을 했다”고 회고했다.
이어 “국내 금융그룹이 많이 있는데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곳도 꽤 있다”며 “NH는 국외 배당으로 자금이 빠져나가는 다른 금융그룹과는 달리 국내에서 번 돈이 농민과 농촌으로 돌아가는 토종 자본 그룹이라는 점에서 열심히 해 볼 의미가 있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