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앞서 최 부총리는 오는 22일부터 27일까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및 국제통화기금(IMF)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다. 매년 4월 열리는 G20·IMF 회의는 각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거시·금융·통화 정책 방향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22일에는 국제통화기금(IMF)이 4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앞서 IMF는 2월7일 ‘2024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0%로 전망했다. 당시 IMF 측은 12·3 비상계엄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을 고려했지만 구체적인 경제지표가 아직 나오지 않아 경제 성장률 전망에는 반영하지 않았다.
이번 전망에선 국내의 정치 불확실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계엄에 이은 줄 탄핵이라는 정치적 불확실성 여파가 경제로까지 옮겨붙은 관련 지표(산업활동동향 등)가 잇따라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1%대까지 성장률 전망이 뚝 떨어질 수 있다. 다만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결정으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된 상황이 반영된다면 낙폭이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같은 날 정부는 12조 2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국회의 ‘필수 추경’ 증액 요구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겠다”며 증액 가능성을 열어둔 만큼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 규모가 얼마나 더 늘지 관심이다.
기재부는 이번 추경이 “‘경기 부양용’은 아니다”며 선을 그었지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등 정치권에서 민생 예산을 더 요구하고 있는 만큼 수 조원 규모 더 증액될지 주목된다.
오는 23일 통계청이 내놓는 ‘2월 인구동향’에선 출생아 수와 출산율 반등 추세가 이어질지 관심이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3.6% 증가했다.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5년 이후로 9년 만이다. 합계출산율도 지난해 0.75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상승했다.
지난 1월에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졌다. 출생아 수는 2만 394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6%나 늘었다. 합계출산율은 0.80명에서 0.88명으로 높아졌다.
다음은 기재부, 통계청,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주간 주요 일정 및 보도 계획이다.
◇주간 주요 일정
△22일(화)
10:00 국무회의(2차관, 서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27일, G20 재무장관회의 및 IMF회의)
△24일(목)
09:00 차관회의(1차관, 서울)
10:30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 1차 회의(1차관, 비공개)
14:30 제3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TF(1차관, 비공개)
△25일(금)
10:00 물가관계차관회의(1차관, 비공개)
◇주간 보도 계획
△21일(월)
10:00 2025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실시
12:00 통계청·UN WOMEN·UNSIAP 협력 초청연수 실시
12:00 KDI FOCUS ‘건강보험 지출 증가 요인과 시사점’
14:30 한국 기관‧인력 진출 확대 등 한국-녹색기후기금 협력 강화 방안 논의
14:30 통계청-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AI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16:00 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금융통화위원회(IMFC) 참석
△22일(화)
22:00 국제통화기금(IMF) 4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23일(수)
12:00 KDI 현안분석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2:00 2025년 2월 인구동향
12:00 2025년 3월 국내인구이동통계
△24일(목)
11:30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 1차 회의 개최
12:00 2024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14:00 G20 재무장관회의 1일차 및 주요 인사 면담 결과
15:00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반,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방안 모색
17:00 제3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
17:00 5월 국고채, 재정증권, 원화표시 외평채 발행 계획
△25일(금)
10:00 2025년 5월 개인투자용 국채 발행계획
11:00 G20 재무장관회의 2일차 및 주요 인사면담 결과
11:00 제44차 물가차관회의 개최
12:00 2025년 1/4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
12:00 KDI 북한경제리뷰(2025.4)
15:00 2024년도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 심사결과
15:00 2024년도 공공기관 통합공시 점검결과 및 후속조치
△27일(일)
12:00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참석 및 주요인사 면담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