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부 장관이 참여하고, 미국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여한다.
기획재정부와 산업부는 20일 최상목 부총리와 안 장관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미국과 통상 협의에 나선다고 밝혔다. 기재부에 따르면 이번 협의는 미국 측 제안으로 이뤄지며 현재 일정과 의제 등을 최종 조율하고 있다.
최 부총리가 G20(주요 20개국) 회의 참여 등을 위해 오는 23일 출국하고, 안 장관 역시 같은 날 미국으로 떠나는 것을 고려할 때 협의 일정은 미국 현지시간으로 24~25일이 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경제사령탑인 최 부총리와 함께 통상 수장인 안 장관까지 협의에 나서며 외환 금융 현안뿐만 아니라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 등을 비롯한 통상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애초 미국 재무부 측이 최 부총리와 베센트 장관과의 통상 현안 회의를 제안해 정부는 참석자와 일정 등을 조율해왔다. 산업부도 기재부와 별도로 미국 측 인사들을 만나 협의를 진행하려 한 바 있다.
한편에서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의 만남까지 고려할 때 이번 회담이 ‘2(한국)+3(미국)’ 형식으로 보다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미국은 한국과 함께 일본, 인도, 호주, 영국 총 5개 국가를 우선 협상 대상 국가로 지목했다. 90일간 상호 관세가 유예된 사이, ‘최우선 협상 대상’인 국가들과는 집중적인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측은 지난 16일 미국을 찾아 첫 관세 협상을 하기도 했다.
다만 미국은 방위비 등을 모두 아우르는 협상을 요구하고 있고, 우리는 통상과 안보를 분리한다는 입장으로 협상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실제로 미국은 일본과 관세 협상에서 방위비 분담금과 쌀 수입 규제 등을 문제 삼아 비관세 장벽과 안보까지 협상 테이블에 올렸다.
이에 우리 정부는 이번 ‘2+2’ 만남을 ‘협상’이 아닌 ‘협의’라고 표현하며 신중한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무역 균형,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패키지’를 미국에 먼저 제안하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