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尹 파면 직후 아이폰 개통한 김건희…압수물 분석 난항 예상

김민정 기자I 2025.05.02 05:58:16
[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건진법사’ 전성배 씨(65)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등을 확보해 분석에 들어갔다. 하지만 확보한 휴대전화는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직후에 교체한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연합뉴스)
2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박건욱 부장검사)는 지난달 30일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와 김 여사가 운영했던 코바나컨텐츠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김 여사의 휴대전화와 공기계 등을 확보했다.

검찰이 확보한 김 여사의 휴대전화는 개통한 지 20일밖에 안 된 신형 아이폰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4일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직후 김 여사는 이 기기를 개통해 사용해왔다고 한다.

또 코바나컨텐츠 사무실에서 확보된 휴대전화는 전시 공간에서 음악 재생 용도로 사용되던 공기계로 파악됐다.

지난해 11월 윤 전 대통령 부부는 명태균 씨 등과 주고받은 문자메시지가 공개되며 파문이 일자, 이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개인 휴대전화 사용을 중단하고 번호를 바꿨다. 이 기기는 파면 직후 관저를 나오면서 대통령실에 반납했다고 한다.

검찰은 영장에 적시된 ‘그라프’사의 목걸이, 샤넬 가방, 인삼주 등 100여 개에 이르는 압수 대상 물품도 대부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검찰의 뚜렷한 증거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압수수색 성과에 대한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윤 전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는 압수수색이 ‘망신 주기’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반발했고, 야권에서는 “면피용 쇼”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이들 기기에 대해 검찰은 조만간 디지털 포렌식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지만, 비밀번호가 걸려 있고 김 여사 측이 알려주지 않으면 수사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압수수색영장에는 김 여사와 전성배 씨 간의 금품 전달 시점이 2022년 4월에서 8월로 명시됐으나, 압수된 기기에 해당 시기의 정황이 담겨있을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처럼 압수물 분석에 난항이 예상되는 가운데 검찰의 향후 수사 방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