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의원은 “(그 당에서) 한 후보와 이낙연 새로운미래 상임고문 등을 모아 제3지대를 구축한 뒤 투표용지가 인쇄되는 이달 25일 이전에 김 후보와 단일화를 시키자”고 제안한 것으로 파악됐다.
오는 11일 오후 6시에 후보 등록 마감인 상황에서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자 원내교섭단체를 꾸릴 수 있는 수준으로 의원들을 입당하게 한 뒤 한 후보가 ‘기호 3’번으로 뛰도록 하자는 취지다.
윤 의원의 주장이 현실화된다면 한 후보는 제3당 차원의 선거 운동 비용과 인력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윤 의원은 “후보자 동의 없는 지도부의 강제적 단일화는 정당성 원칙을 훼손하고 당내 민주주의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법정 공방이 벌어지면 당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질 것이다. 이기는 단일화가 아니라 지는 단일화가 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 8일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당 지도부의 강제적 단일화는 절차의 정당성 원칙과 당내 민주주의를 무너뜨릴 수 있다. 이렇게 가면 당이 끊임없는 법적 공방의 나락으로 떨어져 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워진다”며 “이런 단일화는 감동도 없고 시너지도 없다. 원칙 없는 승리가 아니라 원칙 있는 패배를 각오해야 길이 열릴 것”이라고 적기도 했다.
다만 윤 의원 주장은 의총에서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추가 논의로 이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