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수소차 5만대 시대 오는데…"국가 인프라 지원 절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정병묵 기자I 2025.04.28 09:34:59

전국 승·상용 수소전기차 등록대수 올해 5만대 돌파 예상
현대 ‘디 올 뉴 넥쏘’출시로 수소전기차 보급 가속화 전망
도심 충전 인프라 확충 및 수소 공급망 안정화 목소리 커져
전기·도시가스처럼 공급·가격 등 국가차원 통합관리 필요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국내 수소전기차 누적 보급대수가 3월 말 기준 3만9216대로 4만대 돌파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올해 승용 수소전기차 신모델 출시와 함께 1만3000대분의 정부 구매보조금이 확정된 점을 고려하면 곧 5만대 시대를 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수소전기차 5만대 시대에 걸맞은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관리와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여러 수소산업 전문가들과 수소전기차 이용자들은 도심지역 충전소 확충을 통한 충전 편의성 향상과 함께 수소전기차의 경제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소 공급망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국가차원의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처음 공개한 ‘디 올 뉴 넥쏘’. (사진=현대차그룹)
국내에 보급된 수소전기차를 차종별로 살펴보면, 승용 수소전기차가 3만7227대, 수소전기버스가 1939대, 수소전기트럭 50대다. 국내 수소전기차의 94.9%가 승용모델이며, 승용수소전기차의 대부분은 지난 2018년에 출시한 현대차 넥쏘다. 특히 올해 상반기 넥쏘의 후속모델인 ‘디 올 뉴 넥쏘’가 출시될 예정이다.

버스도 수소전기차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수소전기차는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길어 장거리 운행면에서 강점이 크기 때문에 도시 간 광역버스, 시내버스, 기업 통근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

현대차(005380)는 지난 2019년 도심형 수소전기 시내버스 ‘일렉시티 FCEV’를 처음 선보인데 이어 2023년에는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을 탑재한 고속형 대형버스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를 출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차는 인천, 전북, 충남, 울산 등 주요 광역자치단체와 수소전기버스 보급 확대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등 공공시장 보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현재 전국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4월 말 기준으로 총 218개소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38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 23개소, 충북 22개소 순이다. 서울에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과 서울시 서소문청사, 서초구 양재동, 강동구 상일동, 강서구 마곡동 등 9곳이 있다. 일부 도심 충전소는 이용자들의 충전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예약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수소전기차가 5만대를 넘어 대중화 초입단계까지 진입하려면 이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내연기관 차량처럼 원활하게 수소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도심 충전소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현대차가 상대적으로 설치에 제약이 적은 ‘고압 이동형 수소충전소’ 개발을 완료함에 따라 도심 수소충전소 확충에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도 충전사업자의 도심 내 부지확보와 경영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세제혜택 등의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수소산업 전문가는 “전국 관공서와 정부기관, 공기업 등에 최우선적으로 수소충전소를 설치한다면 도심 충전소 개수를 대폭 늘릴 수 있다”며, “도심 내 충전소가 확대되면, 수소전기차 고객들의 편의가 획기적으로 높아질 뿐 아니라 이용자 증가로 충전사업자들의 재무상태도 개선돼 충전소 확대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심 수소충전소 확충과 함께 수소공급망 관리도 수소전기차 5만대시대 도래에 앞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수소전기차 보급이 더욱 활성화되려면 수소 생산·수입에서부터 수송, 유통에 이르기까지 수소 공급망 안정화가 선행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소도 전기, 도시가스와 같이 국가차원의 에너지 통합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 수소 유통망 관리는 산업부와 한국석유관리원, 한국가스공사 등 여러 부처와 기관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수소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목적으로 공급망 전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전담 기관은 없는 상황이다.

수소 시장 주도권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는 미국과 일본, 중국 등은 수소를 중요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지정하고, 수소를 총괄적으로 담당하는 국가차원의 전담 기관이 있다.

자동차 산업계 관계자는 “수소전기차가 5만대를 넘어 대중화 단계에 돌입하려면 구매 보조금은 물론 충전인프라와 수소가격 등 이용자의 총보유 비용 관점에서 경쟁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전 과정에 걸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중장기 목표와 안목 아래 수소의 공급 및 가격 관리 주체를 일원화하고 국가차원의 수소에너지 전담 기관 신설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