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측은 이달 1~6일 연휴 기간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 내부적으로 여러 방안을 모색했으나 직접적인 접촉이나 공식적인 협상안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연휴가 끝난 이날도 양측 간 교섭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
이는 통상임금을 둘러싸고 입장 차가 크기 때문이다.
노조는 지난해 말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별도의 주장이 없어도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 지급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는 ‘권리분쟁’에 해당해 단체교섭 대상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서울시와 사측은 노조 요구대로라면 총액 기준 20% 이상의 임금 인상이 이뤄지는 셈이어서 수용할 수 없으며, 임금체계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노조는 연휴가 끝나자마자 준법운행을 재개했다. 준법운행은 승객이 교통카드를 찍고 자리에 앉는 등 안전이 확보된 것을 확인 후 출발하거나 앞서가는 차를 추월하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연착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한편 시민 불편을 줄이고자 사측은 7일 새벽부터 비상운영체계를 가동했다.
시 역시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했다.
먼저 지난 준법투쟁 때와 마찬가지로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을 1시간 확대 운영해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투입을 47회 늘렸다.
또 고의적 감속 운행, 출차·배차 지연 등 차량 흐름을 저해하는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공무원을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 배치해 이상 행위를 점검했다.
연휴가 끝난 첫날이라 대중교통 이용이 늘었음에도 비교적 정상적으로 운행이 이뤄진 것으로 사측과 시는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노사 협상 국면은 오는 8일을 기점으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는 8일에도 준법운행을 하되 당일 열리는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상급단체와 구체적인 쟁의행위 방향을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 총파업 여부가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