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트럼프 관세 수출 영향 가시화…4월 들어 대미수출 14.3%↓(종합)

김형욱 기자I 2025.04.21 10:12:49

관세청 4월1~20일 수출입동향
美부진에 전체 수출 5.2% 감소
반도체 뺀 전 품목 수출 감소세

[이데일리 김형욱 하상렬 기자] 4월 들어 한국 수출이 감소 전환 흐름을 보였다. 지난달부터 시작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우리 수출에 악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모습이다.

관세청은 4월1~20일 수출액이 339억달러(약 48조원·통관기준 잠정)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줄었다고 21일 밝혔다.

아직 4월 월간실적 집계 전이지만, 20일까지의 추이를 보면 올 1월 이후 3개월 만의 감소 가능성이 크다. 또 1월 수출감소는 앞당겨진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었던 만큼 글로벌 반도체 업황 부진 영향을 받았던 2023년 9월 이후 첫 감소 흐름으로도 볼 수 있다.

미국의 관세 부과 여파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철강·알루미늄에 대해 예외 없는 25% 관세 부과를 개시한 데 이어 4월 초 자동차에 대해서도 25% 관세를 부과했다. 이달 전 세계를 상대로 한 10%의 기본 관세도 부과한 상황이다.

앞으로의 불확실성도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가 이를 7월까지 3개월 유예받은 상황이다. 반도체, 휴대폰, 가전 등 품목은 국가별 상호관세에 예외를 부여받기는 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해 나갈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다.

이 기간 한국의 대미국 수출액(62억달러)은 전년대비 14.3% 격감했다. 대중국(66억달러·3.4%↓), 대베트남(31억달러·14.3%↓), 대일본(15억달러·14.7%↓) 등 다른 지역 수출액도 대체로 줄었다. 주요 지역 중에선 유럽연합(40억달러·13.8%↑)과 대만(15억달러·22.0%↑)만 수출 증가 흐름을 유지했다.

품목별로도 반도체를 뺀 모든 품목 수출이 일제히 감소했다. 승용차(37억달러·6.5%↓)와 철강제품(24억달러·8.7%↓)은 미국 품목관세 부과에 직격을 맞았다. 석유제품 수출액(22억달러)은 국제유가 감소 상황까지 더해지며 22.0% 감소했다. 무선통신기기(9억달러·0.5%↓), 컴퓨터주변기기(4억달러·23.3%↓) 등 정보기술(IT) 품목과 가전제품(4억달러·29.9%↓) 수출도 부진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340억달러로 11.8% 줄었다. 국제유가 감소 여파로 원유·가스 수입 부담이 줄었다. 무역수지는 1억달러 적자였다.

박정성 산업통상자원부 부역투자실장은 “미국 관세 영향에 더해 유가 내리며 석유 제품 수출도 눈에 띄게 줄어든 상황”이라며 “반도체가 괜찮은 상황이고 자동차도 아주 나쁘진 않은 만큼 추이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트럼프 2.0 시대

- 트럼프 "美 복귀하라" 압박에도…애플, 인도 공급망 확대 - 北위협 속 주한미군 감축설…발등에 불 떨어진 韓외교 - 트럼프 하버드 유학생 차단에 운동부 '존폐 위기'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