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사업승계 방식으로 매각을 선택하는 일본(20%)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치다. 후계자 부재가 사업승계형 M&A 확산의 계기가 된 일본과 달리, 국내 기업은 대부분 자녀를 중심으로 한 가업 승계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매각에 대한 낮은 선호도는 후계자 인식, 이익 예측 불확실성, 주변 사례 부족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먼저 ‘후계 공백’에 대한 위기의식 자체가 부족하다.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77%는 후계자가 ‘있다’고 응답했고, 이 중 92.5%가 자녀를 지목했다. 후계자가 없는 기업조차 매각보다는 전문경영인 도입(33.1%)을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변에서 매각 사례를 접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실제 매각 검토 경험이 있는 기업은 8.4%에 불과했고, 사례 노출 경험이 있는 기업일수록 매각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매각을 ‘도약의 계기’가 아닌 ‘마지막 수단’으로 여기는 인식이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M&A 중개 서비스에 대한 불신도 극복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개업체를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은 8.8%, ‘가치평가 방법을 신뢰한다’는 응답은 19.9%에 불과했다. 매각의 핵심인 기업 가치 산정과 협상 중재 과정에 대한 신뢰 부족은 거래 성사 자체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에 따라 IBK경제연구소는 사업승계형 M&A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망 중소기업을 조기에 발굴해 자문 경험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정부와 금융기관이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문 경험이 인식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또 후계자 부재 문제를 공론화해 중소기업의 위기의식을 높이고, 성공 사례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널리 공유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M&A 중개시장의 신뢰도와 투명성 강화하고, 인수 이후 경영 안정성을 도와주는 사후 통합서비스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