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에 따르면 중국군은 베이징 서부에 대규모 단지를 건설하고 있으며, 미국 정보당국은 이곳이 군사 지휘센터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미 정보기관이 조사중인 위성사진에는 베이징에서 남서쪽으로 30km 떨어진 지역에서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공사는 지난해 중반에 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정보 분석가들은 ‘베이징 군사 도시’ 프로젝트라고 명명했다.
건설 현장에선 약 1500에이커(약 6㎢) 규모의 깊은 구멍이 나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군사 전문가들은 이 곳에 핵전쟁 등이 발발했을 때 중국군 지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견고한 방공호(벙커)가 들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미 국방부와 비교하면 10배에 달하는 규모로, 완공시 세계 최대 규모의 군사 지휘센터가 될 전망이다.
미 국가지리정보국 영상 분석가 출신으로 현재 지리공간 분석 서비스그룹인 올소스 아날리시스의 분석·운영 부사장을 맡고 있는 레니 바비아르즈는 해당 지역의 영상을 분석한 뒤 “5㎢ 면적에 걸쳐 지하 인프라를 개발하는 데 최소 100대의 크레인이 작업 중이었다”며 “지하 통로로 연결된 다양한 지하 시설이 건설 중인 것으로 보이는데, 더 완벽하게 평가하려면 추가 데이터와 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중국 연구원은 “견고한 철근 콘크리트와 깊은 지하 터널을 포함해 민감한 군사 시설의 모든 특징을 갖추고 있다. 펜타곤(미 국방부)의 10배 규모로 미국을 앞지르겠다는 시 주석의 야망과 부합한다”고 짚었다. 이어 “이 요새는 단 하나의 목적만을 위해 존재한다. 중국의 점점 더 정교해지고 유능해지는 군대를 위한 최후의 벙커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건설 장소가 지하 벙커에 적합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대만 싱크탱크인 전략 및 워게임 연구 위원회의 쉬옌치 연구원은 “육지 면적이 일반적인 군사 캠프와 군사 학교보다 훨씬 넓어서 행정기관이나 대규모 훈련기지의 부지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미 정부당국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 때까지 대만을 공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도록 인민군에 명령했다. 이에 중국 인민군은 군사 지휘센터 신설 외에도 핵무기 무기고를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군사 부문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군사 전문가들은 인민군의 각 분야가 통합되지 않는 것이 미군과 비교해 가장 큰 약점이라고 설명했다.
전직 미 중앙정보국(CIA) 중국 분석 책임자인 데니스 와일더는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인 시 주석을 포함한 군 지도부를 위한 새로운 첨단 군사 지휘센터 및 벙커가 확인된다면, 이는 베이징이 세계적 수준의 재래식 군대뿐만 아니라 첨단 핵전투 능력도 구축하려는 의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 워싱턴 주재 중국 대사관은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한다”며 “중국은 평화적 발전의 길과 방어적 성격의 방위 정책에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FT는 “이달 초에도 활발한 건설 활동이 확인됐는데, 이는 부동산 위기로 중국 내 대형 부동산 프로젝트 대부분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