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정학적 리스크에…6월 기업심리, 4개월만에 하락 전환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정두리 기자I 2025.06.26 06:00:00

한은, 6월 기업경기조사결과 및 경제심리지수
전월 비 0.5p 하락했으나 90대선 유지
“향후 내수부양 정책 및 관세 정책 변화 관건”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기업심리지수가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중동 전쟁에 따른 이제 지정학적 리스크가 발생하면서 기업 심리가 소폭 악화됐으나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인 90대선은 유지했다. 내달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를 비롯해 이재명 정부의 내수 회복과 관련한 정책 추진 등에 따라 기업심리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6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90.2로 전월보다 0.5포인트 내렸다. 이는 4개월 만에 하락 전환이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의 주요 지표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2024년)를 기준값(100)으로 해 이보다 지수가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임을, 낮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이달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지수가 하락했다. 제조업 CBSI는 업황 및 자금사정 등의 영향으로 전월에 비해 0.3포인트 내린 94.4을 기록했다. 비제조업 CBSI는 87.4로 전월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매출과 채산성이 주요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다만 제조업은 신규수주, 제품재고, 비제조업은 업황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며 하방 폭을 제한했다.

6월 BSI 중 제조업 실적은 화학물질·제품, 금속가공, 비금속 광물 등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유가 상승에 따른 에틸렌 스프레드가 하락하고, 전방산업인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수요가 감소했다. 건설업 부진 등으로 시멘트, 콘트리트, 세라믹 업체를 중심으로 생산 및 신규수주도 악화됐다.

비제조업 실적은 건설업, 부동산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악화됐다. 주택 건설 경기 부진에 더해 토목 공사 수주도 부진했고, 지방 소재 상업용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체를 중심으로 불황을 겪었다. 골프장, 공연장 등에서 이용객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전산업 CBSI 전망은 전월대비 0.1포인트 하락한 89.4로 조사됐다. 내달 제조업 CBSI 전망은 전월대비 0.3포인트 상승한 93.4으로,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0.4포인트 오른 86.7로 조사됐다.

자료=한국은행
이혜영 한은 경제통계1국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제조업의 경우 관세 유예에 따른 수요처의 재고 비축 움직임으로 재고 수준은 개선됐으나 철강, 알루미늄 및 파생 상품의 관세율이 상승했고, 중동 전쟁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도 발생하면서 기업 심리가 소폭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팀장은 “향후 새정부의 내수 회복과 관련한 정책 추진을 비롯해 상호 관세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무역 협상 진행 상황을 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6월 경제심리지수(ESI)는 전월과 비교해 0.6포인트 상승한 92.8를 기록했다. 계절적 요인 등을 제거한 순환변동치는 89.3으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전국 3524개 법인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3294개 업체가 응답했으며 제조업이 1839개, 비제조업이 1445개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