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 장관은 국내 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정책을 펼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받은 자리다. 특히 580만명에 달하는 소상공인은 우리 경제의 실핏줄과도 같은 존재여서 여느 중기부 장관이고 취임 직후 소상공인을 가장 먼저 찾았다.
한 장관의 골목형 상점가와 전통시장 방문도 이 같은 배경이지만 이번엔 다소 특수성이 있었다. 바로 폭우피해다.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이어진 집중호우로 인해 전국 8개 지역 412개 점포의 전통시장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는 충남 당진 전통시장이 170여곳, 경남 합천 삼가시장이 70여곳에서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기자 Pick
물론 특별재난지역은 지자체장과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몫이다. 특별재난지역의 선포는 대통령이 할 수 있다. 그럼에도 피해를 입은 전통시장을 중앙행정기관의 수장이 외면한 점은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다. 피해를 입은 전통시장 상인들의 애로를 가장 빠르게 접할 수 있어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세금 납부 유예, 공공요금 감면, 생계비 및 주택복구비 지원 등 주민 지원이 가능해진다. 중기부 장관이라면 얼마든 힘을 보탤 수 있다.
한 장관이 후보자로 운신의 폭이 넓지 않던 당시 노용석 중기부 차관이 17일 당진 전통시장, 20일 합천 삼가시장을 방문해 현장을 둘러봤다. 중기부는 △전기·가스 등 안전점검 및 복구 지원 △원스톱 지원센터 운영 △금융지원 등 피해 전통시장을 위해 다양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진행 중이다.
한 장관은 앞서 같은 날 오전 취임사에서 가장 첫 번째 정책 추진 방향으로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을 꼽았다. 그는 “특히 대형 재난에 대한 피해복구 체계 마련, 고용보험 지원, 화재공제 강화 등에 집중하겠다”라고 공언했다.
전통시장 피해 복구 정책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한 장관에게 수해 피해 전통시장은 ‘소상공인의 사회·재난 안전망 구축’이라는 본인 제 1의 정책 기조를 체감할 수 있는 최적의 현장이지 않았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