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수장' 우종수 떠난 국가수사본부…'계엄 수사' 차질 우려

손의연 기자I 2025.03.30 15:41:19

28일 우종수 2대 국수본부장 임기 만료
수사국장 직무대행 맡을 가능성 높아
경호처 구속 실패…중요 판단 남아 우려 시선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경찰 수사를 이끌던 우종수 제2대 국가수사본부장이 지난 28일 임기 만료로 퇴임했다. 국수본부장 후임 임명 절차는 진행되지 않아 대행 체제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아직 비상계엄 관련 수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만큼 수장 공백이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장을 맡아 수사를 총지휘하던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이 28일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퇴임 간담회에 참석해 있다. 우 본부장은 2년 임기를 마치고 이날 퇴임했다. (사진=연합뉴스)


30일 경찰에 따르면 우 전 본부장은 지난 28일 공식 행사 없이 직원들과의 간담회를 끝으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후임 국수본부장 인선 절차는 진행되지 않았다. 국수본부장은 경찰청장의 추천과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을 통해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비상계엄 사태 이후로 경찰청장과 장관, 대통령 모두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되며 인선도 이뤄지지 못했다.

경찰 관계자는 “전례 없는 상황인 탓에 국수본부장이라는 자리에 대한 임명을 진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원칙상 윤승영 전 수사기획조정관이 직무대리를 맡아야 하지만 윤 전 조정관은 ‘체포조 운영 지원’의혹으로 기소되며 직위해제된 상태다.

때문에 김병찬 수사국장이 국수본부장 직무대리를 맡을 것으로 보이지만 국회에서 반발이 일 가능성이 높다. 앞서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박균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병찬 수사국장은 과거 국정원 댓글 사건 때 위증죄로 대법원 가서 유죄가 확정됐는 데도 현 정부에서 경무관, 치안감으로 승진하더니 국수본부장 설까지 돈다”며 “이런 의혹이 있는 당사자에 대해 추천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수장의 공백이 경찰의 비상계엄 수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까 우려하는 시선도 있다.

앞서 국수본은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등 경찰 수뇌부가 비상계엄에 연루된 상황에서 이들을 빠르게 체포하며 경찰 내란 수사에 대한 의구심을 지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경찰은 윤 대통령 체포 작전과 관련, 공수처가 주도한 1차 집행과 달리 2차 집행을 성공적으로 이끌며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을 체포하기도 했다.

하지만 경찰은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경호처 김성훈 차장과 이광우 본부장을 구속하려고 했지만 실패하면서 난관에 맞닥뜨린 상황이다. 수사를 마무리하기까지 중요한 판단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수장 공백으로 판단이 지연될 가능성도 우려된다.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단장 자리는 백동흠 안보수사국장이 이어 받기로 했다.

다만 우 전 본부장은 이같은 우려에 “걱정이 돼야 아쉬움이 있을 텐데 아쉬움이 없다. 변화도 없을 것”이라며 “모든 수사는 상시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시스템대로 하는 것이지 특정 개인이 빠진다고 수사 체계가 흔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