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캐빈승무원 노동조합은 “LCC 객실 승무원들은 장시간 비행 후에도 개인 숙소를 보장받지 못해 심각한 피로 누적과 신체적·정신적 부담을 겪고 있다”고 9일 밝혔다.
|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는 객실 승무원들에게 1인 1실 숙소를 제공하며, 해외 항공사들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저비용 항공사는 비용 절감을 이유로 개별 숙소 제공을 거부하고 있다.
에어서울 승무원 A씨는 “독립적인 공간은 고강도 교대근무자에게 심신의 회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승무원처럼 안전과 직결된 직군에서는 더욱 그러하다”고 강조했다.
티웨이 항공 승무원 B씨는 “힘든 비행을 마치고 숙소에 도착했는데도, 동료와 함께 방을 써야 한다. 서로의 수면 시간도 다르고 생활 소음이나 냄새, 조명 하나까지 신경 쓰이다 보면 사실상 제대로 쉴 수가 없다”며 “공공장소보다 못한 환경”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에어부산 승무원C씨는 “동료에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고, 휴식에 방해가 될까 화장실은 숙소 로비에 있는 공용 화장실을 사용한다”며 “만성적으로 방광염이라는 질병을 달고 산다. 자괴감과 비참함에 고통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스타항공 승무원D씨는 “기내에서는 승객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업무를 수행하지만, 정작 우리 자신은 비행 안전을 위한 충분한 휴식을 보장받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비행 안전은 승무원의 컨디션과 직결되는 문제인데, 충분한 회복 시간을 가지지 못하면 결국 비행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