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文 “이번 계엄내란 광기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황병서 기자I 2025.03.30 16:12:47

30일 SNS 통해 “4·3 기억하는 일 멈춰서는 안 돼”
“국가 폭력 자행 가장 큰 비극…청산되지 않고 내려오는 역사”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은 30일 “이번 계엄내란이 적나라하게 보여준, 군사력으로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절멸시키려는 광기와 야만의 원형을 제주 4·3에서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설연휴 마지막 날인 1월 30일 오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경남 양산시 평산마을 대통령 사저를 찾아 문재인 전 대통령과 지지자들을 향해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사진=뉴시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제주 4·3의 역사를 알려주는 책 ‘기나긴 침묵 밖으로’를 소개하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나라가 이 지경이니 책 읽을 기분이 나지 않는다”면서도 “우리는 4·3을 제대로 알고 기억하는 일을 멈춰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 폭력이 자행한 가장 큰 비극이며, 아직도 청산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는 역사이기 때문”이라면서 “청산되지 않은 역사는 대물림 되기 마련이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또 “나는 작년과 재작년 4·3을 앞두고 현기영의 소설 ‘제주도우다’와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추천했다”면서 “이 책들이 4·3의 슬픔을 문학으로 승화시킨 작품들이라면 이번 책은 4·3의 역사를 정리한 책”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주제 출신 기자이며 4·3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바 있는 저자는 7년간의 취재와 생존희생자, 유족, 목격자들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국제적 냉전체제와 남북분단의 산물인 4·3의 시대적 배경과 성격부터 발생원인과 전개, 미 군정의 역할, 학살의 책임자들과 살아남은 사람들의 이야기, 특히 가장 크게 고통받아야 했던 여성들의 이야기, 제주 전역과 올레길에 남아 있는 비극의 흔적들,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특별재심과 개별보상까지, 우리가 알아야 할 4·3의 진실들을 기획기사를 쓰듯이 정리했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19470301~19540921’은 제주 4·3이 시작된 날과 끝난 날”이라면서 “무려 7년 동안 지속된 비극의 역사였음을 보여주는 제목이다. 저자가 말하듯이 제주 전역과 올레길 곳곳에 4·3의 흔적들이 남아 있으나, 길을 걷는 이들의 눈에 4·3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이 책을 읽고 제주를 오갈 때 여전히 남아 있는 그 흔적들을 잠시라도 떠올려준다면 4·3의 희생자들과 제주도민들에게 큰 위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