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내 지갑 털고 새거 사주면서 서비스?" 270만 유튜버, SKT에 분노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박지혜 기자I 2025.04.29 08:47:07
[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구독자 270만 명을 보유한 IT 유튜버 ‘잇섭(ITSub)’은 유심(USIM) 해킹 사고가 발생한 SK텔레콤(SKT)의 대처를 비판했다.

사진=유튜브 ‘잇섭’ 영상 캡처
잇섭은 28일 유튜브 영상을 통해 SKT가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라고 공지한 데 대해 “서비스? 내 지갑에 있는 거 털고 새 지갑 사주면 그게 무료 교체 서비스임?”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킹된 지 수일이 지나서야 고지하게 된 점, 그것도 접근성이 높은 문자 메시지 등이 아니라 소극적으로 알린 점, 유심 보호 서비스만 공고하더니 논란이 커지자 유심 교체를 나중에 대체한 점, 마지막으로 유심 교체마저 매끄럽지 않은 점 등이 굉장히 아쉽다”고 말했다.

지난 18일 해커에 의한 악성 코드로 유심 관련 일부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확인한 SKT는 유심 보호 서비스를 대책으로 내놨다. 그러나 이용자 우려가 수그러들지 않자 28일부터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를 시작했다.

SKT 가입자 2300만 명과 이 회사 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 187만 명까지 총 2500만 명인데, SKT는 27일 약 100만 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고 다음 달 말까지 약 500만 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든 이용자가 유심 교체를 완료하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잇섭은 “시원한 대처라고 생각되지 않는다”며 “장년, 노년층 같은 디지털 취약 계층이 유심 보호 서비스에 직접 가입해야 되고 유심 교체 받는 것도 생각보다 너무 힘들 거 같은데, 이런 분들을 위해 방문 서비스나 유심 택배 서비스를 하지 않는 게 아쉬운 부분”이라고 했다.

이어 “심지어 서버가 털린 것은 SKT의 서버다. 근데 SKT를 이용하는 고객이 유심 보호 서비스도 직접 신청해야 되고 불편하게 대리점까지 가서 유심 교체를 해야 된다. 2023년에 LG유플러스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있었는데 이때는 고객이 원하면 택배로도 해줬다”고 덧붙였다.

잇섭은 “웃긴 건 피해가 발생하면 SKT가 100% 책임진다고 했는데, 이것도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고 털리면 100% 책임진다는 거다. 애초에 처음부터 털렸으니까 처음부터 책임져야 되는 게 아닐까?”라고 말하기도 했다.

SK텔레콤이 유심 고객정보 해킹 사고로 관련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에 나선 28일 서울 시내 한 SK텔레콤 대리점 앞에 점심시간을 이용해 유심을 교체하려는 시민들이 줄지어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잇섭은 “유심 정보를 복제해서 다른 휴대전화에 쓴다면 두 개의 휴대전화가 네트워크망에 동시에 붙으려고 할 텐데, 복제된 유심을 다른 휴대전화에 심는 걸 못 하게 막는 게 유심 보호 서비스”라며 “만약 심 복제가 이뤄졌다면 똑같은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가 들어간 유심 2개가 있는데, 동시에 네트워크망에 붙진 않고 하나만 연결되는 방식이다. 그래서 만약 해커가 문자나 카카오톡, 이메일로 ‘휴대전화 재부팅 해달라’라고 하면 절대 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재부팅 후 보안점검을 진행하지 않으면 개인정보 유출이 우려된다’는 피싱 메시지에 낚이지 말라는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해 “원래 등록했던 휴대전화에서 전원이 꺼짐과 동시에 복제한 휴대전화에 망이 붙으면서 내 휴대전화가 먹통이 된다”며 “해외에 나갔을 때 문제가 로밍하면 해외 통신사의 서버가 붙는다. 복제된 유심으로 해외에 나갔을 땐 심 복제 휴대전화를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해외 로밍 사용자는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곧 해외 가는 분들은 공항에서 무조건 유심 교체하고 가라”고 당부했다.

잇섭은 SKT를 향해 “일반 고객에게는 어느 범위까지 피해를 입었는지, 지금 대처로 충분히 커버가 되는지도 좀 투명하게 알려줬으면 좋겠다”며 “지금도 그냥 무조건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하라고 하고 어떤 정보인지, 이게 어디에 도움이 되는지 이런 걸 하나도 안 알려주다 보니까 오히려 더 불안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SKT 유심 해킹 사태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나왔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장이 SKT 정보 유출 조사가 1년 이상 걸릴 수 있다고 하자 “마치 다른 나라에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처럼 무관심하고 무책임한 발언”이라며 “혹시 휴대전화 (통신사) KT 쓰느냐”고 질타했다.

“유심만 바꾸면 안전하냐”는 같은 당 윤한홍 정무위원장의 질의에 고 위원장은 “유심을 바꾸면 고객 입장에서 2차 피해는 방지할 수 있다”고 답했다.

다만 “해킹 때문에 통신사를 바꾸게 된다면 위약금 문제도 해결해 줘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검토해 보라”는 윤 위원장의 발언에 “회사 쪽에서 전향적으로 고려해 봐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며 즉답을 피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금은 해킹 피해 확대를 막는 게 중요한데 스스로 유심 보호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만 (보호) 하겠다고 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SKT 유심 해킹

- 리밸런싱 2년차 확 바뀐 SK…‘체질 개선’ 효과 그룹 전반 확산 - SK그룹 고강도 보안 쇄신…최태원 회장이 직접 이끈다 - SKT "유심교체 누적 417만명" 절반 남았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