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김문수 “GTX,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대·수도권 전 노선 완성할 것”(종합)

박민 기자I 2025.04.21 11:11:37

수도권만 누렸던 급행 교통혁명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대 공약
기존 선로 개량·지자체 제안 기반
“민간 자본 유치해 완공에 속도”

[이데일리 박민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0일 GTX(광역급행철도)를 전국 5대 광역권으로 확대하고, 수도권 전 노선도 개통 및 착공하겠다는 내용의 대선 공약을 밝혔다. GTX는 도심 지하 40~50m 깊이에서 최고 속도 시속 180km로 운행하는 열차로서 기존 지하철보다 3배~4배 가량 빠르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 사무소에서 광역급행철도(GTX) 전국 확대 구상을 담은 교통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 있는 선거캠프에서 “GTX는 제가 경기도지사 시절 고안했던 것”이라며 “부울경(부산·울산·경상남도)과 대전·충청,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 전국 5대 광역권 GTX 급행철도망 구축을 대통령 임기 내 확정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이번 공약 발표는 앞서 밝혔던 기업의 투자 확대와 일자리 창출, 신입사원 공채 장려, 65세 이상 고령층 버스 무임승차 등 경제·교통·주거정책에 이어 네 번째다.

김 후보가 밝힌 전국 5대 광역권 GTX 노선은 △수도권과 충청을 잇는 동탄~청주공항 GTX △신공항·관광·산업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부울경 GTX △행정수도와 청주공항을 직결하는 대전세종충청 GTX △내륙과 동해를 잇는 국가 동서축으로의 대구경북 GTX △혁신도시와 무안공항을 연결하고 기존 호남선을 급행화하는 광주전남 GTX 등이다.

김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되면 GTX 전국화 계획을 ‘국토부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할 것”이라며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방 GTX 노선은 각 지자체가 추진 중인 철도계획을 바탕으로 설계했다”며 “기존 철도망을 급행화·복선화·직결화하는 방식을 포함해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은 현실적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GTX 확대 사업은 완공 속도 등을 고려해 민간 자본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도지사 시절) 10대 건설사와 교섭해 건설사 자부담으로 GTX를 건설하고 몇십년간 요금 징수권을 받으라고 했는데 국토부에서 반대했다”며 “공공이 참여하다 보니 계속 늦어졌다. 민간이 했으면 벌써 개통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무원들은 속도보다는 안전성, 정확성, 민원을 생각하다 보니 자꾸 늦어진다”며 각종 인허가 절차도 획기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가 21일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 선거 사무소에서 광역급행철도(GTX) 전국 확대 구상을 담은 교통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 후보는 또한 기존의 수도권 GTX 노선 가운데 이미 개통된 A노선(파주~동탄) 이외에 착공식만 열리고 첫 삽도 못 뗀 B노선(인천 송도~경기 남양주)과 C노선(경기 양주~수원)은 임기 내 개통하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타당성 검증을 진행중인 D노선(김포~원주)과 E노선(인천공항~덕소), F노선(하남교산~기흥~하남교산)도 임기 내 착공하겠다는 계획이다.

GTX A노선의 경우 지난해 3월 수서~동탄 구간에서 첫 운행을 시작으로 그해 12월 파주 운정 중앙~서울역 구간 순차 개통한 바 있다. 개통 1년 만에 누적 이용객 770만 명을 넘겼을 정도로 수도권의 새로운 교통체계로 각광을 받고 있다.

김 전 장관은 “2007년 경기도지사로서 최초 제안했던 GTX는 A·B·C 3개 노선을 2012년 동시 착공해서 2017년 완공하자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당시 민주당은 사업을 지연시켰고 결국 GTX는 2024년이 돼서야 A노선 일부만 개통되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 제 제안대로 추진됐더라면 수도권의 교통지옥도 지금처럼 심각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지금쯤 A·B·C 노선은 모두 완공됐을 것”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끝으로 “시간이 곧 경쟁력이고, 효율이고, 돈”이라며 “GTX는 직장과 주거 간의 통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으로써, 가장 보편적인 복지이자 가장 강력한 성장 정책”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