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은 대부분 설사와 복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축제가 마무리된 지 2주가 넘었음에도 신고가 계속되고 있다.
제주보건소 관계자는 “역학조사와 함께 정확히 어떤 음식으로 식중독 의심 증상이 나타난 건지 섭취력 조사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축제 측은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인 방문객들이 방문 영수증을 제출하면 보험사를 통해 보상을 진행하는 등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올해 진행된 전농로 벚꽃축제에서 판매된 음식의 바가지 요금이 알려져 논란이 된 바 있다.
온라인상에선 축제장 일부 노점에서 순대 6개가 들어간 순대볶음을 2만 5000원에 판매했다는 글이 확산했다.
그러자 제주도는 바가지 요금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으로 올해 개최 예정인 도내 축제에서 음식 부스 내부와 외부에 가격표를 게시하도록 했다. 또 메뉴판에 음식 사진을 추가하거나 부스 앞 음식 샘플 모형을 비치하도록 했다.
아울러 관광객이 많이 찾는 음식점의 갈치 조림이 10만 원에 육박하는 등 바가지요금 논란 등으로 관광객 수가 줄어들자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 9일 업종별 권장가격 도입과 가격 불만 신고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최근 제주를 찾은 관광객 사이에서 ‘비싸다’, ‘불친절하다’는 말이 반복되고 있다”며 “관광불편신고센터를 통한 가격 불만 신고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물가 안정화 방안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 물가 수준과 정보를 계속 제공해 나갈 것”이라며 “가격 불만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권장가격 가이드라인 도입과 함께 관광물가에 대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를 개설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