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미 주요 대통령실 실장 이하 수석급 참모들은 지난달 중순께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며 “내일 대선을 앞두고 일부 인수인계가 필요한 직책을 제외하고 모두 자리를 떠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출범 당시 2실장(비서실·국가안보실)·5수석(정무·홍보·경제·사회·시민사회) 체제로 시작했던 용산 대통령실은 이후 정책실·과학기술수석·민정수석·저출생 수석을 차례로 신설해 현재 3실장 8수석 체제다. 이들 중 정진석 비서실장이나 신원식 안보실장은 업무 인수인계를 위해 대선 다음날에도 출근하지만, 나머지 인력은 모두 자리를 비울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직원들도 이미 갈 길을 정한 상황이다. 정부 부처에서 파견된 ‘늘공’(늘 공무원·직업 공무원)은 부처로 돌아가가나 순환보직 근무를 기다리고 있으며, ‘어공’(어쩌다 공무원·별정직 공무원)은 당으로 돌아가거나 새로운 일자리를 찾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미 남은 연차를 쓰거나 새 직업을 구하고 있는 직원들도 상당수”라며 “대통령을 보좌했던 주요 부서는 거의 남아 있을 사람이 없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에도 국회 인사청문회 절차가 필요한 장관급 인사는 바로 임명이 어렵기 때문에 내각 구성 때까지 현 정부 장관 출신들의 잔류가 예상된다. 특히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당분간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아 임명권 행사를 제청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으로 물러나 인수위가 없던 문재인 정부는 전임 정부의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맡은 바 있다. 당시 문재인 정부의 초대 내각은 인선을 완료하는 데 역대 최장 기록인 195일 걸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