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정부 예산안은 673조3000억원이다. 대통령 임기(5년) 동안 예산안 규모가 올해와 비슷하다고 가정하면, 새 대통령은 5년간 총 3366조5000억원의 나랏돈을 집행한다. 이를 유권자 전체 수로 나누면 한 표당 약 7584만원의 값어치를 갖게 되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정부의 예산은 해마다 증가하기 때문에 한 표의 가치는 더 크다.
선거를 치르는 직접 비용도 만만치 않다. 앞서 정부는 6·3 조기대선을 치르기 위해 선관위에 일반회계 목적예비비 3867억원을 배정했다. 이 또한 역대 대선 경비 중 최대치다. 이 중 투개표 인력 관리와 선거운동 등 선거 관리에 소요되는 경비만 2901억원을 차지한다. 선관위 관계자는 “개표 절차에 (부정선거 논란으로 인한) 수검표 절차를 추가해 인건비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번 대선의 개표 사무원은 총 6만654명으로 지난 20대 대선의 5만2459명보다 약 1.2배 늘었다.
정부는 선관위 외에도 선거 대비 비상근무 체제로 돌입한 행정안전부에 90억원의 예산도 추가 배정했다. 두 기관에 들어간 예산을 합산해 전체 유권자 수로 나누면 1인당 약 8914원꼴로 선거 비용이 쓰이게 됐다.
정부가 보전해주는 선거비용은 각 후보마다 최대 588억5000여만원이다. 대선 종료 이후 70일 내에 정당에 지급하는 선거비용은 선거운동의 기회 균등과 선거공영제 원칙에 따라 득표율이 15% 이상일 때 제한액 범위 안에서 지출한 전액을 보전하고 있다. 만약 득표율이 10% 이상 15% 미만이면 절반만 돌려받고, 10% 미만이면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한다. 선거비 또한 국고로 보전하는 만큼 유권자 한 표의 가치는 사실상 값을 매기기 어려울 정도로 크다는 해석이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