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부산 철도지하화 본격화…'1조8184억' 재원은 어떻게?

이배운 기자I 2025.03.31 11:00:00

상부 부지 개발로 사업비 충당…인접 부지 통합개발 병행
부산 원도심-북항 재개발지구 연결…주거·관광·상업 시너지
공사 중에도 열차 운행 지장없어…철도 소음 저감 효과도

[부산=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경부선 부산역~부산진역 일대는 부산시의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유명 맛집과 상점 등 볼거리가 많아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지난 28일 찾은 부산역 일대는 평일인데도 따뜻한 봄바람을 맞으러 나온 관광객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었다.
경부선 철도부지로 단절된 부산 원도심(왼쪽)과 북항 재개발지구 (사진=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하지만 역에서 동쪽 초량3동 방향으로 시선을 돌리면 분위기는 180도 달라진다. 활기찼던 상권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인적이 뚝 끊긴 공원과 부둣가만 보인다. 부산 원도심의 번화한 상권은 이곳까지 자연스럽게 확산돼야 하지만 시내를 가로지르는 경부선 철도로 인해 생활권이 단절됐기 때문이다.

주민과 상인들의 한숨이 깊어지던 중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부산을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대상지로 선정하며 기대감이 되살아나고 있다. 철도 지하화 사업은 수조 원에 이르는 사업비와 재원 조달 방안이 관건으로 꼽히는 가운데, 부산 철도 지하화 사업이 상부 부지 개발로 충분한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시행착오가 있더라도 감당 가능한 규모라는 게 국토부의 판단이다.

부산 철도 지하화는 부산역~부산진역 구간의 기존 선로 위를 인공지반(데크)으로 덮어 상부를 개발하고, 인접한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적장(CY)과 철도 부지를 이전한 뒤 고밀도로 개발하는 방식이다. 개발 면적은 약 37만㎡(약 11만 평)로 총 사업비는 약 1조 8184억 원으로 추산된다.

하치덕 부산시 철도시설과장은 “부산 도심은 노선을 우회하거나 선로를 변경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 선로 위를 인공지반으로 덮는 방식을 택했다“며 “단순히 선로만 덮는 선형 개발 방식에서 나아가 인접한 조차장과 컨테이너 야적지 부지도 적극 활용해 개발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하화 사업이 완료되면 그간 경부선 철도로 인해 단절돼 있던 부산 원도심과 북항 재개발지구 간 연결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원도심은 부산역을 중심으로 전통 상업지역이 밀집해 있고, 북항 재개발지구는 오페라하우스, 크루즈터미널, 랜드마크 타워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하 과장은 “지금은 두 지역 간 왕래가 어렵지만, 인공지반이 설치되면 자연스럽게 동선이 이어질 것”이라며 “양 지역의 관광, 상업, 업무 기능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지역 활성화와 부산 도심의 통합적 재편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하 과장은 이어 “상부 부지 개발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으로 사업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했고, 국토부도 이를 검토해 적정하다고 판단했다”며 “일부 구간에서 사업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구역을 조정하거나, 개발 가능한 부지를 중심으로 수익 구조를 맞춰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부산 원도심(오른쪽)과 북항 재개발지구 사이에 부산진역 컨테이너 야적장이 들어서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인공적으로 조성된 지반 위에 초고층 건물을 짓는 것은 구조적 제약이 클 뿐 아니라 공사비도 뛰는 요인이 되는 만큼 이곳에는 대형마트, 공원, 커뮤니티 시설 등을 주로 배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인접한 야적장·조차장 부지에 초고층 건물을 주로 배치해 건설해 상부 시설에서 발생하지 못하는 수익을 보완하고, 전반적인 재원 조달 구조를 탄탄히 다지겠다는 전략이다.

기존 철도 노선을 유지한 채 상부를 덮는 방식이기 때문에 공사 중에도 열차 운행에 큰 지장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공사가 완료되면 인공지반이 철도를 덮으며 소음을 저감해 인근 상인과 주민들의 생활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처럼 인공지반을 이용한 철도 지하화 사례는 해외에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파리 13구 리브고슈 지역은 철도 상부에 인공지반을 설치해 상업, 주거, 교육, 녹지 공간 등을 조성하며 도심 기능 회복 효과를 봤다. 호주 멜버른의 페더레이션 스퀘어 역시 철도 위에 인공지반을 구축해 도심의 문화 중심지를 형성했다.

선도 사업지로 선정되기는 했지만, 첫 삽을 뜨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부산 철도 지하화의 경우 기본계획(2025∼2026년), 설계(2027∼2029년) 이후 인공지반 건설에 들어가는 시기는 2030년 이후로 예상된다. 상부 개발을 통한 부지 조성, 분양은 2031∼2037년에 진행될 전망이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