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트럼프가 언급한 ‘원스톱 쇼핑’이라는 표현처럼, 미국이 한국의 무역 흑자, 관세, 조선업, LNG, 방위비 분담금 등 모든 사안을 일방적으로 요구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결국 한 대행이 미국의 요구를 전면 수용했는지에 대한 의심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 대행의 대미 통상 협상을 신뢰할 수 없다는 말까지 나온다”고 덧붙였다.
진 정책위의장은 이어 멕시코 사례를 언급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부합하는 멕시코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0%로 책정했다”며 “멕시코는 불법 이민과 펜타닐 밀반입 문제 등 트럼프의 관심사에 정면 대응하며 실질적 성과를 내고, 이를 바탕으로 미국을 설득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틀 안에서 협상 원칙을 분명히 해야 한다”며 “대미 실효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 등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미국 내 한국의 투자와 고용 창출 기여도를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새 정부 출범 전까지 국민과 국회, 정부가 합심해 지혜와 역량을 모아야 한다”며 “국회 통상대책특별위원회 설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여야, 정부, 민간기업까지 모든 역량을 총동원해 대응해야 한다”며 “역할을 정밀하게 분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진 정책위의장은 정부·여당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과 관련해 “10조 원 추경만을 고집할 때가 아니다”라며 “시민사회는 30조 원 이상, 한국은행은 최소 15조~20조 원의 추경을 제시했다. 선제적 경기 부양에 실패하면 골든타임을 놓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