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성국 의원이 “인공지능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다”고 재차 묻자, 조 교사는 “일반 국민들이 생각하는 생성형 AI가 아닌 반응형 AI에 가깝다”면서 “도입 초기에는 부실할 수 있으나 데이터 축적으로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수준으로도 개별 맞춤형 수업이 가능하며, 학생들의 모든 활동이 객관적 데이터로 기록돼 수준에 맞는 교육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천경호 실천교사모임 회장은 “해외 연구 사례를 보면 단기적으로는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지만, 장기적으로는 AI 의존도가 높아진다”며 우려를 표했다.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AIDT가 학력 미달 학생의 학습능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사교육비와 교사 업무도 줄이며 교육 격차도 해소한다는 주장이 검증됐느냐”는 질의에, 이주호 부총리는 “새로운 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하는 시기에 그 무한한 가능성을 교육현장에 도입하자는 취지”라고 답변했다.
“왜 AIDT를 왜 올해 꼭 추진해야 하는지 설명해달라”는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사적 이익이나 개인적 의욕으로 추진한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 부총리는 “2025학년도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고1 학생들이 2028 대입 제도를 적용받는 등 교육과정·대입·교과서 체제가 전면적으로 변화하는 시기”라며 “이 시점에 맞춰 AIDT 도입을 준비해왔다”고 설명했다.
서지영 국민의힘 의원은 ‘AIDT를 교과서 아닌 교육자료로 활용하자’는 주장을 두고 “교과서로서는 문제가 있다고 하면서 교육자료로는 찬성한다는 것은 논리적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교육자료일 경우 강제성이 없고 국가가 보증하지도 않는데 어떻게 개인정보와 데이터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느냐”며 교과서 지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부총리 역시 “AIDT의 교과서 지위는 유지돼야 지적 재산권, 정보 보호 문제 등이 해소된다”며 “교과서 지위는 유지하더라도 (우려를 수용해) 자율 활용토록 해 점진적으로 현장에 도입될 수 있도록 노력하다”고 밝혔다.
한편, 청문회 중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의 ’반공청년단’ 국회 기자회견 주선 논란을 놓고 공방도 벌어졌다. 김 의원은 “좀 더 주의해서 기자회견을 주선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굉장히 송구하게 생각한다”며 “그들의 이름이 무엇인지 모르는 상황에서 소개를 했지만 결과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인 상처를 상기시킨 부분이 있다는 데 대해서는 굉장히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