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최상목 "재정 풀어 성장률 보전은 한계…규모보다 내용·효과성 중요"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권효중 기자I 2025.04.28 12:49:32

최상목 부총리, 28일 국회 예결위 전체회의 출석
12.2조원 정부 추경안 '찔끔' 추경 비판에
"민생회복 취지 동의하지만…재정만능론 경계"
"규모보다 민생지원 위한 내용·효과성 따졌다"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이번 정부 추경안(추가경정예산안)은 민생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이 목적으로 규모보다 내용, 효과성이 더 중요하다”며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풀어서 단순히 해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심사하는 종합정책질의 등을 위해 열린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 부총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 전체회의에 출석, 정부가 내놓은 12조 2000억원 추경안을 놓고 ‘찔끔’ 추경안이라는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평가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서 의원은 “민주당은 그간 35조원 규모의 추경을 제안하고, 확장재정 등 재정의 필요성을 거론해왔다”며 “정부의 ‘찔끔 추경안’의 취지가 무엇인가”라고 최 부총리에게 물었다.

최 부총리는 “12조원이라는 규모를 전체 국가재정에 비춰 ‘적다’, ‘많다’고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재정을 풀어 성장률을 올리는 식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하냐는 질문을 드리고 싶다”고 반문했다.

이어 “현재 정부는 여러 불확실성과 대외 충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민생에 도움을 주기 위해 추경을 편성했다”며 “그렇기 때문에 추경의 규모보다는 내용, 효과성 등이 더욱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서 의원은 그간 정부가 주장해온 ‘신속 집행’의 효과에 대해서도 물었다. 신 의원은 “12·3 계엄령 이후 경제가 더 악화됐다”며 “그간 정부는 재정 확대에 선을 그어 왔고, 신속 집행을 얘기했지만 그 효과가 어떠했나”고 물었다.

최 부총리는 “추경을 통한 민생 회복이라는 취지에는 동의하지만, 재정만 갖고서는 할 수 없는 일”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그러면서 12·3 이후 경제가 악화됐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일부 원인이 됐다고 생각한다”고 동의했다.

그러면서 최 부총리는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는 모두 평년 대비 신속 집행이 많았던 시기이고, 이로 인해 정부의 성장률 기여도는 0.1%포인트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신속 집행이 없었다면 오히려 성장률이 0.1%포인트 더 낮아졌을 것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