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미국 국무부는 지난 18일(현지시간) 그간 중단됐던 유학생 비자 발급 절차를 재개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들에서 ‘F(학생)’, ‘M(직업 훈련)’, ‘J(교류)’ 비자 발급 신청이 재개됐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비자 신청이 가능하지 않아 재개 시점에 대한 궁금증이 커졌다.
그러나 이날 오전부터 주한 미국 대사관의 온라인 비자 시스템에서 비자 발급을 위한 인터뷰 예약이 다시금 가능해졌다. 다만 미국 유학과 관련된 카페에 따르면, 약 3주간 비자 신청이 중단되었던 만큼, 현재 예약이 가능한 6월 예약분은 재개 직후 빠르게 마감된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국대사관은 성명에서 “미국 비자는 권리가 아닌 특권”이라며 “주한 미국대사관은 미국에 입국할 수 없는 자, 특히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인물들을 식별하기 위해 비자 심사 및 검토 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사관은 이어 “새로운 지침에 따라 F, M, J 비이민 비자 분류에 해당하는 모든 유학생 및 교환 방문자 신청자에 대해 온라인 활동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철저한 심사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한 미국 대사관은 특히 비이민 비자 신청자 전원에게 자신의 모든 소셜미디어(SNS) 계정의 공개 범위를 ‘공개’(public)로 설정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리프레스와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국무부에게 비자 심사 영사들에게 “비자 신청자에게 소셜미디어 계정의 모든 부분을 공개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요청해야 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에는 페널티를 줘야 한다”고 전문에 적시했다. 만약 계정 일부가 ‘비공개’로 설정돼 있거나, 접근 제한 상태로 돼 있는 경우에는 계정 공개 거부로 보고 처리하라는 입장이다.
이 같은 지침은 신규 비자 신청자뿐 아니라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인 신청자에게도 적용된다. 아직 인터뷰를 보지 않았거나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경우 또는 인터뷰 면제 대상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문은 ‘만약 이를 거부하거나 잠재적으로 불리한 정보가 발견된 신청자에게는 추가 면접을 위해 신청자에게 다시 연락하라’고 지시했다.
외국인 학생 비율이 전체 학생 수의 15% 미만의 학교에서 공부하려는 학생은 비자 신속 처리 대상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