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카카오 노조 "계열사 사모펀드로 매각 반대"

김아름 기자I 2025.04.09 11:40:29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카카오 공동체 노동조합 크루유니언이 포털 다음,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모빌리티 등 카카오의 주요 플랫폼이 사모펀드로 매각되는 것에대해 반대입장을 밝혔다.

9일 크루유니언은 “3월 18일 카카오게임즈는 사업보고서를 통해 카카오VX 매각계획에 대해 공개했고, 유력한 매수자가 사모펀드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언론을 통해 카카오모빌리티의 지분매각 소식이 전해졌고, 이 역시 사모펀드가 유력한 매수자로 등장했다”라며 “최근 카카오헬스케어 또한 사모펀드로의 매각가능성이 기사로 전해졌고, 어제 늦은 오후에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매각뉴스가 등장하며 대형 매각소식이 폭탄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다”라고 운을뗐다.
민주노총 산하 화섬식품노조 카카오지회(크루유니언)이 19일 경기도 성남시 카카오 판교 아지트 앞에서 ‘콘텐츠 CIC’ 분사매각 철회와 고용안정 등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어 “3년전 2022년 카카오모빌리티는 MBK에 경영권이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미 카카오모빌리티는 사모펀드가 2대 주주로 영향을 행사하고 있고, 카카오VX 또한 2대 주주가 사모펀드”라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뱅크, 카카오재팬 등도 사모펀드가 주요 지분을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헬스케어 또한 사모펀드로의 매각가능성이 기사로 전해졌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카카오모빌리티는 사모펀드가 2대 주주로 영향을 행사하고 있고, 카카오VX 또한 2대 주주가 사모펀드다. 노조는 플랫폼 서비스들이 국민의 일상생활과 깊이 연결돼 있어 사모펀드가 운영하면 공공성이 후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카카오 노조 서승욱 지회장은 “다시 3년 전으로 돌아가 MBK가 카카오모빌리티를 인수했다면 택시산업을 비롯한 교통정책의 모습은 어떻게 변해있을까 상상해보면 긍정적인 모습을 떠올리기 어렵다”라며 “카카오 계열사에서 발생하는 여러 논란의 원인중 하나는 사모펀드가 대부분 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리와 통제가 되지 않는 것이다. 위기를 겪었음에도 계속해서 사모펀드에게 사업을 매각하는 것은 국민들이 카카오에 기대하는 경영쇄신과 정반대 방향”이라며 비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