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관세청이 1일 발표한 ‘2025년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 수출액은 582억 1000만달러(통관기준 잠정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품목 호조가 유지됐다. 전년대비 17.2% 늘어난 117억달러를 수출했다. 디램 가격이 반등한 가운데,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메모리 수출 호조세가 지속된 영향이다. 무선통신기기 수출도 스마트폰 수출을 중심으로 26.5% 증가한 15억달러를 기록했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바이오 의약품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으로 14.6% 증가한 14억달러로 집계됐다. 이차전지 수출은 13.7% 늘어난 7억달러를 기록했고, 선박 수출도 17.3% 증가한 20억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2대 품목인 자동차는 65억달러로 3.8% 감소했다. 내연기관차 및 순수 전기차는 감소했지만, 하이브리드차는 수출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선방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은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대미국 수출은 106억달러로 전년대비 6.8% 급감했다. 석유제품·이차전지·무선통신기기 수출 호조에도 자동차·일반기계 등 양대 수출품목이 감소한 영향이다. 대미국 흑자 규모도 전년대비 9억달러 감소한 45억달러에 그쳤다.
다른 지역들을 상대로 한 수출 실적은 좋았다. 대중국 수출은 3.9% 증가한 109억달러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이 반등한 가운데, 무선통신기기 수출이 크게 늘었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 철강 수출 호조로 4.5% 증가한 94억달러로 집계됐다. 대유럽연합(EU) 수출은 자동차, 바이오헬스 수출이 호조를 보이며 18.4% 늘어난 67억달러를 기록했다.
대인도, 대중남미, 대중동 수출 역시 각각 8.8%, 3.9%, 1.6% 늘어난 17억달러, 26억달러, 17억달러를 기록했다.
|
같은 기간 수입은 2.7% 감소한 533억 2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원유(-19.9%), 가스(-11.4%) 수입 감소로 에너지 수입이 20.1% 감소한 100억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48억 8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흑자 규모가 36억달러 늘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4월에는 대미 수출이 감소했음에도 주요국으로 수출이 증가하면서 전체 수출은 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며 “특히 4월에는 주력품목뿐만 아니라 화장품·농수산식품·전기기기도 4월 중 최대 실적을 경신하는 등 우리 수출 경쟁력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미국의 관세 조치와 같은 수출 환경의 불확실성 아래 우리 기업 피해 최소화와 수출 경쟁력 유지를 위해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