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신입사원이 조기 퇴사하는 이유

김경은 기자I 2025.05.13 09:07:43

인크루트, 신입사원 조기퇴사 관련 조사
퇴사 이유 1순위 ‘직무 적합성 불일치’
조기퇴사 방지 프로그램 운영 35% 그쳐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 사원이 입사 1~3년 내 퇴사하는 ‘조기 퇴사’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


13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이 1~3년 이내라는 응답이 60.9%로 가장 높게 조사됐다. 이어 ‘4개월~1년 미만’(32.9%), ‘3개월 이하’(6.3%) 순이다.

인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 1위는 58.9%로 ‘직무 적합성 불일치’였다. 2위는 42.5%로 ‘낮은 연봉’, 3위는 26.6%로 ‘맞지 않은 사내 문화’의 이유를 꼽았다. 그 외 △상사 및 동료 인간 관계(23.4%)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부족(17.1%) △기타(7.7%) 순이었다.

(그래픽=인크루트)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조직의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80.5%가 그렇다고 답했다. 나머지 19.5%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32.0%) △조직 문화 및 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기타(0.6%) 순이었다.

신입사원 1명 기준으로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전 과정의 채용 비용은 ‘50만원 이하’(35.9%)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순위는 ‘300만원 초과’(21.5%)로 기업마다 채용 비용의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50만~100만원(17.5%) △200만~300만원(12.6%) △100만~200만원(12.6%) 순이었다.

다만 인사 담당자의 34.5%만이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문제가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 이를 해결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신입사원 조기 퇴사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 중인 프로그램은 △장려금 및 포상 휴가 지급(52.6%) △멘토링 제도 운영(38.3%)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37.0%) 등으로 조사됐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