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으로부터 ‘청문회 첫날의 소회’를 질문받고 “정책과 신상에 대한 질문이 있어 최대한도로 설명드렸는데 설명이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한편으로는 죄송하고 한편으로는 난감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발언 기회를 얻은 김 후보자는 야당이 제기한 의혹들에 다시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야당 의원이 수상한 자금이라고 하는 건 저에 대한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다”며 “이 문제를 정리하기 위해서 당시 돈을 제공했던 기업, 검찰의 검사까지도 증언할 수 있게 증인으로 불러주셨으면 했는데 안타깝게도 채택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지난 20년 간의 각종 수입은 모두 표적 사정에서 시작된 추징 그리고 추징과 연관된 중가산 증여세, 이를 갚기 위한 사적 채무 세 가지를 갚는 데 쓰여졌다”며 “세비와 세비 외 수입으로 추징금을 갚았고, 사적 채무를 일으켜서 증여세를 정리했고, 마지막 사적 채무를 다시 대출을 통해서 갚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총 2억 5000만원가량의 수입이 생겼다고 밝혔던 2회의 출판기념회를 두고는 “평균적으로 1권당 5만원 정도의 축하금을 받은 것으로 생각이 되기 때문에 국민 여러분들의 눈으로 봐서는 큰 돈이지만 평균으로 보면 그다지 과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출판기념회 관련 자료요구를 압박하는 야당을 향해선 “한편으로는 정치 신인들, 정치 전체에 대한 저의 책임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야당 의원들, 야당 대표들도 출판기념회를 했고 이를 전혀 재산신고에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는 상황에서 제가 임의로 출판기념회 비용을 다 공개하는 것이 과연 적당한가 하는 원칙의 문제를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처가로부터 2억원을 지원받았다고 밝혔던 김 후보자는 “계좌를 통해서 받거나 그때그때 카드값이 없어서 돈을 빌렸다가 다시 그 통장에 채워 넣는 것이어서 종합하면 사실은 완전하게 다 투명하게 드러나는 지원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원금에) 증여세까지 내고 나니까 사실상 잔고가 제로 상태가 됐다”고 토로했다.
김 후보자는 “무한 입증을 요구받는 부분엔 무한 입증을 하겠으나 적어도 소명된 부분엔 인정이 필요하고, 명백하게 의도를 가지고 (사실이) 아닌 프레임을 가진다면 죄송하게도 ‘조작질’이라는 표현밖에 쓸 수가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