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의 체계적 수집·분석을 통한 지원체계 강화를 위해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등록사업)은 전국 17개 희귀질환 전문기관(전문기관)을 기반으로 1314개의 국가 관리대상 희귀질환 △발생 △진단 △치료 현황 등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해 통계를 산출한다.
2020년부터 매년 희귀질환자 통계연보가 발간·공표됐으나 전체 희귀질환자 규모 및 질환별 현황 파악에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 통계연보는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자에 대한 정보 중에서도 해당연도의 △환자 발생 △사망 △진료 이용 정보에만 한정되어 있다.
이번 의료기관 기반의 희귀질환 등록사업이 본격 시행되면 희귀질환자의 △환자 정보 △질환·진단 및 치료제 정보 △유전자 검사 정보 등을 의료현장에서 직접 수집함으로써, 산정특례 정보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질환별 다양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실제로 의료기관에서 수집된 정보는 데이터 검증 및 분석 과정을 거쳐 통계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데이터 기반의 희귀질환자 맞춤형 정책 수립과 조기진단 및 치료 효과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희귀질환 등록사업을 통해 국내 희귀질환 발생 규모 및 현황에 대해 국가가 직접 파악·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새롭게 마련되었음을 뜻깊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국내 희귀질환자를 전수 등록하기 위하여 참여 의료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이를 통해 더욱 정확한 국가 통계를 생산하여 맞춤형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