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일 회의를 열고 이같은 5월 연휴 대비 응급의료체계 대응방안을 점검했다.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가 가산된다. 중증·응급수술 가산 등 중증·응급진료를 위한 수가지원도 지속한다. 진료 역량 유지를 위해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 총 23개소를 운영하고, 응급실 의사 신규채용 인건비 지원, 비상진료 기여도 평가를 통한 인센티브 지급도 연장해서 계속 운영한다.
|
지난 설 연휴 기간 운영했던 산모·신생아 전담팀을 중앙응급상황실 내 다시 운영하고, 권역별 핫라인을 통해 신속한 이송 및 전원 조치한다. 경증 소아환자 휴일·야간 진료를 위해 올해 초부터 의료취약지 운영비 증액 등을 통해 ‘달빛어린이병원’을 4월 기준 115개소로 늘렸다. 전국 17개 권역외상센터 당직체계 및 핫라인을 점검해, 중증외상환자도 빠짐없이 치료받으실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번 연휴엔 고위험 산모·신생아, 심뇌혈관질환 등 주요 응급질환에 대한 진료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산모·신생아 응급상황에 24시간 대응하는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을 위해 지난주에 9개 권역 12개 협력체계가 선정됐다. 지난 2월 지정된 ‘지역심뇌혈관센터’ 10개소를 본격 운영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진료협력 네트워크로 즉시 의뢰될 수 있도록 강화한다.
연휴 기간에도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지자체 및 중앙응급의료센터 비상근무체계, 재난상황 모니터링 및 재난의료지원팀(DMAT) 출동체계를 유지한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조규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각 지자체, 의료기관들과 긴밀히 소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앞으로 남은 의료개혁을 새롭게 추진하기보다 이미 확정된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조규홍 장관은 “현재 의료개혁특위에서 새로운 정책을 발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예산에 반영된 과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겠다. 발표한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의 경우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가며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련환경 개선 등 전공의분의 관심사항은 전공의들의 의견개진이 필요하다고 했다. 조 장관은 “전공의가 참여해 의견을 개진해 준다면 적극 검토하겠다”며 “아직 발표되지 않은 과제에 대해서는 의료계와 충분히 협의해 실현 가능한 과제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조 장관은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의료를 이용할 수 있고, 초고령사회에도 지속 가능한 대한민국 의료를 위해 의료개혁은 중단없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