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현재 AIDT는 장애학생의 학습권 회복, 학습 격차 해소, 자기주도 학습 활성화 등 교육 본질을 구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의 눈 맞춤을 다시 가능하게 한 변화의 시작”이라며 “정책의 판단이 아닌 객관적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교과서업계는 △AIDT 법적 지위 격하 추진 중단 및 관련 법안 보류 △학교 현장 내 AIDT 시범 운영 1년 연장 및 성과 평가 시행 △민·관·정 협력 기반의 디지털 교육 정책 협의체 구성 등의 내용을 민주당에 공식 요구했다.
교과서 업계는 앞서 AIDT 지위 격하에 대한 반대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지난달에는 국회·대통령실 방문, 국회 앞 총궐기대회를 실시한 바 있다.
교과서업계 한 관계자는 “국가 요청에 따라 교육의 본질을 담아 AIDT를 만들었다”며 “교육이 AI 시대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후퇴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현실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