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송미령 "양곡법 재추진 여건 마련돼…전략작물 인센티브 강화"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은비 기자I 2025.06.30 12:17:25

30일 국회 예결위 종합질의서
"새정부 양곡법, 남는 쌀 없도록 하는 게 핵심"
"수입 식량 작물 재배 늘려 식량안보도 강화"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양곡관리법 개정안 재추진과 관련해 “(이재명 정부는) 사전에 수급조절에 대해 뜻을 같이해서 (재추진) 할 수 있는 여건이 됐다”고 밝혔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27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들과의 당정간담회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송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했던 ‘농업 4법’과 지난 27일 당정이 합의한 농업 4법의 차이가 무엇이냐’고 묻는 전종덕 진보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농업 4법은 정부가 남는 쌀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하는 양곡법 개정안을 비롯해 △농산물유통·가격안정법 △농어업재해보험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등을 뜻한다.

송 장관은 “전 정부의 농업 4법, 특히 양곡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말하면 사후적으로 남는 쌀을 정부가 사라는 게 주된 내용이었다면, 이번은 사전적 대책으로 남는 쌀이 없도록 하겠다는 게 핵심적 대책”이라고 말했다.

당정은 지난 27일 양곡법 등 농업 4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다만 양곡법 개정안으로 인한 부작용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 벼 재배면적 감축을 유도해 수급량을 선제적으로 조절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략작물직불금 확대 등 인센티브를 검토하고 있다.

전 의원이 ‘윤석열 정부에서도 ‘벼 재배면적 감축’, ‘전략작물 인센티브’ 등은 사전 수급관리를 이미 추진했는데 뭐가 바꼈냐’고 재차 따져 묻자, 송 장관은 “전 정부에서는 남는 쌀을 줄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인센티브가 되지 못했다”며 “전략작물직불을 할 수 있었던 규모와 작물의 한정성이 있어 (농가가) 쌀 재배에서 넘어가는 게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벼 재배면적을 줄이면 식량자급률이 훼손될 수도 있다는 지적에는 “식량이 쌀만 있는 게 아니다”며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수입하는 식량 작물을 늘리는 게 맞지 않나”라며 “식량안보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달라”고 답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