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지구가 더워요…진드기 위협 커지는 이유

안치영 기자I 2025.05.13 09:54:52

20년 동안 2.3℃ 상승한 부산…홍반열·라임병 유행 우려
참진드기 1만마리 잡아 조사…‘상시 감시·신속 대응 필요’

[이데일리 안치영 기자] 기후 변화로 한반도가 점점 뜨거워지면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위협이 커지고 있다.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발생하는 진드기 물림 사망사례가 국내서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감염병은 사망자가 많이 발생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다. 그 외에도 쯔쯔가무시증 등이 자주 발생한다. 농번기 야외 활동하는 어르신이 진드기에 물려 SFTS로 사망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할 정도로 진드기는 지역 사회를 위협하는 존재다.

SFTS 매개 참진드기 종류 △A:작은소피참진드기 △B:개피참진드기 △C:일본참진드기 △D:뭉뚝참진드기(사진=질병관리청)
여기에 더해 지구가 점점 더워지면서 감염병에도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날씨가 더워지면 아열대 지역 등에서 유행하던 감염병이 국내에서도 유행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다. 실제로 국내에서 기후변화의 우선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경남권의 평균 기온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부산의 연평균 기온은 1990년대 14.4℃에서 2024년 16.7℃까지 약 20년간 2.3℃ 올랐다.

기온 상승으로 방역 당국이 우려하는 감염병은 홍반열과 아나플라즈마증, 라임병 등이다. 홍반열은 진드기가 사람에게 리케치아속 병원체를 옮겨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붉은색 또는 엷은 붉은색의 발진과 발열 △두통 △피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아나플라즈마증과 라임병은 모두 참진드기에 물려 걸리는 질병으로 △고열 △구토 △설사 증상을 보이다 심해지면 호흡부전, 패혈증의 합병증을 유발, 목숨까지 위험해질 수 있다.

이러한 질환을 막기 위해 질병관리청은 지난 2020년 11월부터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감염병 상시 대응을 위한 진단분석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한반도 남쪽에 있는 경남권은 기후변화에 민감하고 일본과 인접해 참진드기 매개 감염병에 선제 대응이 필요한 지역이다. 실제로 일본에서 유래된 일본 홍반열은 제4군감염병으로 지정됐다. 최근 10년간(2013~2022년) 일본에서 연평균 319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경남권 보건환경연구원은 6개 지점에서 참진드기 분포조사를 실시해 지난해 1만 1920마리의 진드기를 잡아 조사했다. 이 중 홍반열군 리케치아균 검출률이 39.0%에 달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경남권 진단분석협의체에 참석해 경남권질병대응센터와 보건환경연구원이 참진드기 및 병원체 상시 감시와 대응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기후변화로 인해 참진드기 매개 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만큼 각 기관 간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을 통해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