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차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통일부 내에서 명칭 변경을 논의한 바 있느냐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외부적으로 지금 여러 가지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내부적으로는 앞으로 그런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검토해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안 의원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적대적인 두 국가론’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그런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고 국정기획위 쪽에서 이야기하는데 헌법에 ‘대한민국은 통일을 지향하며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적 통일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한다’고 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차관은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우려를 여러 가지로 고려해서 검토를 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24일 서울 종로구 남북관계관리단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평화와 안정을 구축한 토대 위에서 통일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부 명칭 변경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김 차관은 해상에서 표류 중 구조된 북한 주민에 대한 지원 예산이 어디서 나가고 있느냐는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산가족 관련 예산을 지금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매뉴얼이나 법률의 미비 사항은 분명하다”면서 관련법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군과 해양경찰은 지난 3월과 5월 각각 동해와 서해에서 표류하던 북한 주민들을 구조했다. 이들은 북한으로 돌아가길 원하고 있지만, 우리 측 송환 의사 타진에도 북한의 응답이 없어 신병 인도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